[메르스 꺾이나] ‘메르스 주홍글씨’ 왕따·눈총…두 번 우는 격리해제·유족들

[메르스 꺾이나] ‘메르스 주홍글씨’ 왕따·눈총…두 번 우는 격리해제·유족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5-06-25 00:30
업데이트 2015-06-25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범한 주부였던 A(36)씨의 삶은 ‘코호트 격리’ 이전과 이후로 극명하게 갈린다. 메르스와 상관없이 입원했던 서울의 한 병원에서 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오며 불가항력적으로 격리됐다가 최근 퇴원했지만 이제는 ‘메르스 왕따’가 됐다.

입원 전에는 매일 동네 아기 엄마들과 수다를 떨고 틈틈이 백화점 의류 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격리 기간 동안 외롭고 힘겨운 시간을 보냈던 그는 퇴원만 하면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올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그 바람은 퇴원 하루 만에 산산조각 났다. 아르바이트 매장에서는 “손님도 줄었고, 퇴원한 지도 얼마 안 됐으니 당분간 쉬라”고 했다. 아이들을 데리고 오랜만에 찾아간 어린이집에서는 눈칫밥을 먹었다. 오랜만에 통화한 친구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건넨 “격리돼 있다 나왔으니 두 달 뒤쯤 만나자”는 말조차 상처가 됐다.

●일부 “격리 해제 자녀 등교 막자” 마녀사냥

24일 국립서울병원에 따르면 메르스 사태 이후 피해 유가족과 격리 해제자들은 ‘사회적 낙인’을 가장 힘들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서울병원이 지난 16일부터 메르스 심리위기지원단을 발족해 60여명의 유가족과 격리 해제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벌인 결과다. 그 결과 이들은 바이러스 보균 또는 타인 전파 가능성이 있는 잠복기(14일)가 지난 뒤에도 여전히 집에만 머무르는 등 쉽게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메르스로 인해 격리됐던 점을 과도하게 걱정하는 주변의 시선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르스 피해 유가족과 메르스 공포와 싸웠던 격리 해제자들이 사회적 낙인에 두 번 상처를 받고 있는 셈이다.

●의료계 “이전처럼 똑같이 대하는 게 중요”

대전 건양대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 B씨와 그의 가족도 사회적 낙인에 힘겨운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B씨는 16번째 메르스 환자를 돌보다 격리됐다. 이후 14일 만에 일상생활로 돌아왔지만 이웃 주민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B씨 부인은 매일 울면서 “사람들이 다 나를 알아보는 것 같다. 무서워서 외출할 수 없다”며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아이들 역시 친구들의 놀림에 힘겨워하고 있다. B씨 가족이 살고 있는 아파트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여전히 B씨 가족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다른 아파트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도 격리 해제자를 향해 ‘스스로 신원을 밝히라’는 글이 올라오거나 격리 해제자의 자녀 등교를 막자는 식의 ‘마녀사냥’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심민영 국립서울병원 메르스 심리위기지원단장은 “메르스로 인한 유가족 혹은 격리자는 우울, 무기력, 죄책감, 분노에 휩싸여 감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며 “이들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걱정보다는 이전과 다름없이 똑같이 대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6-25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