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서 보육비 지원해줘도 아기 울음소리 석달째 줄어

정부서 보육비 지원해줘도 아기 울음소리 석달째 줄어

입력 2013-05-28 00:00
업데이트 2013-05-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난 등으로 결혼 인구 감소, 3월 출생아수 전년대비 10%↓

정부의 보육비 지원도 출산율 하락을 막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출생아 수가 올 들어 3월까지 내리 감소세를 보였다. 이대로 가면 지난해 1.3명까지 오른 여성 합계출산율이 다시 하락세로 돌아설 수밖에 없다.

통계청이 27일 밝힌 ‘인구동향’을 보면 지난 3월 태어난 아기는 3만 8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400명(-10.2%) 줄었다. 2011년 10월(-12.1%)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통계청은 그 원인으로 ▲결혼 적령기 인구 감소 ▲다문화 혼인 감소 ▲청년취업난 심화 ▲결혼관의 변화 등을 꼽았다.

우선 결혼 적령기인 29~33세 인구(추계)가 지난해 195만 7000명에서 올해 191만 8000명으로 2.0% 감소했다. 2010년 국제결혼 건전화 조치 이후 다문화 혼인이 줄어든 것도 이유가 됐다. 3월 다문화 혼인 건수는 217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8% 줄었다. ‘흑룡해 효과’로 지난해 일시적으로 출산율이 높았던 기저효과도 있었다.

청년 취업난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20대 청년 고용률은 지난해 5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11개월 연속 떨어졌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보통 취업을 해야 결혼을 하는데 취업이 안 되니까 결혼을 미루고 그에 따라 출산도 줄어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9년 1.15명까지 떨어졌던 합계출산율은 2010년 1.23명, 2011년 1.24명, 2012년 1.30명 등으로 완만하게나마 상승세를 이어왔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5-28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