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1%대 시대] 한국도 ‘글로벌 환율전쟁’ 가세… 경제지표 왜곡 우려

[기준금리 1%대 시대] 한국도 ‘글로벌 환율전쟁’ 가세… 경제지표 왜곡 우려

김규환 기자
입력 2015-03-13 00:12
업데이트 2015-03-13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조기 금리인상설이 힘을 받으면서 인위적으로 통화가치를 떨어뜨리는 ‘글로벌 환율전쟁’이 심화되고 있다. 일본과 유럽, 중국, 캐나다 등에 이어 한국은행도 12일 선제적 대응을 이유로 내세워 금리인하 대열에 합류했기 때문이다.

이번 환율전쟁을 촉발시킨 나라는 일본. 아베노믹스로 엔저 기조를 유지하던 일본은 지난해 10월 시중에 10조~20조엔(약 92조~185조원) 규모를 공급하는 추가 양적완화를 실시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유로를 사수하기 위해 뭐든 하겠다”며 금리를 연 0.05%로 동결하고 지난 9일부터 유로존 국채를 월평균 600억 유로(약 71조원)씩 매입하기 시작했다. 이에 위협을 느낀 유로존 주변 덴마크·스위스는 금리를 마이너스로 낮추는 극단적인 방법까지 동원했다. 덴마크는 지난 1월 금리를 ?0.2%로 내린 뒤 사흘 만에 ECB가 양적완화를 발표하자 금리를 또 내려 금리가 연 -0.35%이다. 스위스는 스위스프랑화의 급격한 상승을 막는 최저환율제(1유로당 1.2스위스프랑 고정)를 포기했다.

인도와 호주는 금리를 각각 0.25% 포인트 인하했고, 중국도 인하 흐름에 편승했다. 올해 성장률 7%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지난해 11월에 이어 지난달에 금리인하(0.25% 포인트)를 단행했다.

문제는 환율전쟁 이후에 나타날 부작용에 있다.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국가와 기업의 부채 상황 등 경제지표가 크게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타이무르 바이그 도이치방크 이코노미스트는 “1980년대 초와 1990년대 중반의 경험에서 보듯 미국의 금리인상은 신흥시장에서 자본이탈을 촉발해 평가절하 압력으로 작용하는 만큼 신흥시장의 환율전쟁은 정상이 아니다”며 “환율의 급격한 변동은 여러 국가의 부채 상환능력이나 지표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03-13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