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연구중심대학을 가다] 포스텍은 설립 때부터 산학연 협력체제 갖춰 ‘지방 단과대’ 약점 극복

[세계 연구중심대학을 가다] 포스텍은 설립 때부터 산학연 협력체제 갖춰 ‘지방 단과대’ 약점 극복

입력 2013-01-29 00:00
업데이트 2013-01-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포스텍이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짧은 시간에 일류 대학의 위치에 올랐는데.

이미지 확대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설립 초기에 해외 우수인력을 적절하게 영입했고 학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해 우수 학생을 유치한 것, 포스코의 전폭적 재정지원, 작은 지방 사립대학으로서의 유연성 등 몇 가지 요소가 융합된 결과다.

→국내 대학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수도권 소재’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는데도 성공했다.

-‘지방’, ‘단과대학’, ‘사립’은 통념적으로 포스텍이 갖고 있는 불리한 조건이다. 하지만 포스텍의 성공을 이해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수도권의 대학들은 우수 학생들을 블랙홀처럼 끌어들이는 데만 초점을 맞췄다. 반면 포스텍은 지방에서 우수 인력들에게 쾌적하고, 몰입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따로 떨어져 있어 기존의 틀에서도 자유로웠다. 지방에 있으면서 세계를 겨냥하는 ‘글로컬(글로벌+로컬) 국제화’ 전략을 쓴 것도 지금의 경쟁력을 얻게 된 중요한 이유다.

→연구중심 대학은 정부 지원뿐 아니라 기업과의 관계 설정도 매우 중요하다. 포스텍이 규모에 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수익과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포스텍은 건학 이념에도 산학연 협력이 명시돼 있다. 초기부터 포스코나 대학과 캠퍼스를 마주하는 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산학연 협력의 이상적인 체제를 구축해 왔다. 포스텍의 축적된 기초 원천 성과와 이노베이션은 포스텍이 위치한 지곡밸리를 기술형 벤처 생태계로 만드는 핵심 포인트다.

→현재의 포스텍을 비롯한 한국의 연구중심 대학이 더 발전하기 위해 해결하거나 극복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포스텍은 공기업인 포스코의 전폭적 지원과 국가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오늘의 위치에 올랐다. 지역의 대학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이 돼야 한다. 포스텍과 같은 연구중심형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들이 이제 기초연구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성장동력 창출과 창조경제의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과 제도적 정비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1-29 22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