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유행에 텅 빈 헌혈의집 가 보니
하루 40명대 필요한데 20명대로 급감
혈액 2.7일분… 적정량 60% 아래 ‘주의’
가족·지인 ‘지정헌혈’도 적합해야 수혈
단체헌혈 한 달간 334건 취소도 영향
혈액 보유량이 적정 기준 60% 이하로 떨어진 17일 서울 구로구 헌혈의집 구로디지털단지역센터의 혈소판혈장성분 보관함이 텅 비어 있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17일 서울 구로구 헌혈의집 구로디지털단지역센터에서 만난 김연량 센터장은 한산한 센터 내부를 둘러보며 한숨을 쉬었다. 이 센터는 지난달 19일 하루 헌혈 인원이 29명으로 최저점을 찍었다. 이달 평일 기준 일평균 헌혈 인원도 52.5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63명)보다 10명 넘게 줄었다. 같은 시간대 찾은 서울 동작구 헌혈의집 노량진센터도 텅 비어 있었다. 헌혈 침대 5대가 놓여 있었고, 간호사 7명이 대기하고 있었지만 헌혈 중인 시민은 20대 남성 1명뿐이었다.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헌혈이 움츠러들면서 혈액 보유량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이날 국내 혈액 보유량은 2.7일분으로 적정 보유량(5일분)의 60% 아래로 떨어져 ‘주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구로센터에는 5~6명의 방문객이 헌혈을 하려고 대기하고 있었다. 김 센터장은 “헌혈 인원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찾아오는 3분의2 이상이 지정헌혈을 하러 온 분”이라고 귀띔했다. 지정헌혈은 수술을 앞둔 가족, 지인 등을 위해 헌혈하는 것을 말한다.
헌혈을 해 줄 지정헌혈자를 구해도 전부 헌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혈압 등 조건에 맞는 사람만 가능하다. 김 센터장은 “최근 모친의 수술 때문에 센터를 찾은 방문객은 이틀 연속 지정헌혈을 해 주실 분을 데려왔지만 전부 부적격 판정을 받자 ‘우리 엄마 어떡하느냐’며 주저앉아 울기도 했다”고 말했다. 원활한 수술과 치료를 위해서라도 지정헌혈보다 일반헌혈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였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면서 단체헌혈이 크게 줄어든 것도 혈액 보유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16일까지 한 달 동안 총 334건(예정인원 2만 3310명)의 단체헌혈이 취소됐다.
시민들이 코로나19 감염 우려 때문에 헌혈을 꺼리지 않도록 헌혈의집은 방역 지침을 철저히 지키고 있다고 밝혔다. 체온 측정과 손소독제, 아크릴 가림막은 물론 인원을 분산하기 위해 사전예약제도 운영 중이다. 김 센터장은 “건강하신 분이라면 안심하고 헌혈의집에 방문해 달라”면서 “병상에 계신 분들을 위해 사람들이 많이 오셨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20-12-1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