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바퀴벌레가 기내식 식판에…검역 보고도 제대로 안해

대한항공 바퀴벌레가 기내식 식판에…검역 보고도 제대로 안해

입력 2018-04-26 09:15
업데이트 2018-04-26 1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해 승객에 “A380 비행기 모형 주겠다” 대응 논란

운항 중인 대한항공 비행기 기내식 식판 위에 바퀴벌레가 기어다닌 사건이 발생했지만, 대한항공이 관련 사실을 검역당국에 제대로 신고도 하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대한항공 바퀴벌레 소동 대한항공 A380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석)에서 바퀴벌레가 출몰했으나 대한항공 측이 검역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항공 바퀴벌레 소동
대한항공 A380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석)에서 바퀴벌레가 출몰했으나 대한항공 측이 검역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문제의 바퀴벌레는 지난 2월 17일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으로 들어오던 대한항공 KE654편에서 발견됐다. 비즈니스석(프레스티지석)에서 아침식사를 하려던 회사원 김모(40·경기도 일산)씨 부부의 식판(트레이) 위를 기어다니던 바퀴벌레를 김씨의 부인이 식사 때 나눠준 휴지로 잡은 뒤 승무원을 불러 얘기했다는 것이다.

승무원은 김씨 부부에게 잠시 기다려달라고 말한 뒤 바퀴벌레를 잡은 휴지를 가지고 사라졌고, 10분 뒤 책임승무원인 사무장이 찾아와 김씨 부부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사무장은 30~40분 뒤 다시 김씨 부부를 찾아와 다시 한번 사과하며 회사에 이 일을 자세히 보고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씨가 기내 방역을 요구한 데 대해서도 사무장은 규정대로 하겠다고 답했다. 김씨는 “일을 겪었을 때 메르스 사태 등이 떠올랐고, 국제적인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선 기내 방역이 첫 단계라고 판단해 방역을 요구했던 것”이라고 중앙일보에 전했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해당 비행기에 대한 ‘항공기 보건 상태 신고서’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기재했다고 중앙일보는 전했다. 검역법에 따르면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이 기내에서 발견됐을 경우 해당 항공사는 비행기 착륙 30분 전에 신고하게 돼 있는 ‘항공기 보건 상태 신고서’에 바퀴벌레 출현 사실을 기재해야 한다.

인천공항검역소 관계자는 “살아서 움직이는 바퀴벌레가 발견된 비행기는 착륙한 그 자리에 멈춰서서 철저한 방역 작업을 끝낸 뒤 검역소장에게 문제가 없다는 소독 결과 보고서를 제출한 뒤에야 움직일 수 있게 돼 있다”면서 “바퀴벌레로 인해 자칫 큰 전염병이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내에서 살아 있는 바퀴벌레가 발견된 것은 인천공항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드문 일인데, 대한항공이 기본적인 검역 절차를 밟지 않은 건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위반 사항에 대해 엄격하게 조치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대한항공이 보고를 누락한 것은 비행기 운항 스케줄에 차질을 빚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통상 오전에 인천공항에 도착한 대형 비행기는 청소 등을 마친 뒤 곧바로 다시 외국으로 나가는 게 일반적이다. 만약 검역당국의 절차를 따랐다면 운행 스케줄이 지연되거나 밀리기 때문이다.

보도에 따르면 문제가 발생한 비행기는 A380 기종으로 대한항공이 ‘하늘 위의 6성급 호텔’이라고 자랑하는 고급 기종이다. 이 기종은 운항 스케줄도 빡빡하게 잡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피해 승객 김씨는 대한항공의 대응 방식에도 문제가 많았다고 지적했다. 김씨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고객의 말씀’에 사건 이후 기내 방역 등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문의했지만 일주일이 넘도록 아무 회신이 없었다. 또 다시 대한항공 측에 메일을 보냈지만 10여일이 지나도록 읽지도 않았다고 했다.

김씨는 “직접 전화를 걸어 어렵게 대한항공 측의 답변을 들었다”면서 “이마저도 방역 관련 증명은 내부 문서라 공개할 수 없고, 피해 보상으로 A380 모형 비행기를 주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 관계자는 “해당 비행기에 대해서는 사건이 발생한 2월 27일 당일 인천공항에서 자체적으로 방역 작업을 실시했다”면서 “인천공항 검역소에 신고하지 않은 건 규정을 잘 몰랐기 때문”이라고 중앙일보에 해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