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폐렴환자 전수조사 완료…”모든 병실 메르스에 안전”

방역당국, 폐렴환자 전수조사 완료…”모든 병실 메르스에 안전”

입력 2015-06-12 16:11
업데이트 2015-06-12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병원 3분의1 조사결과에 일부선 실효성에 의문 제기

방역 당국이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폐렴 환자 전수조사’를 마친 뒤 모든 병실은 “메르스로부터 안전하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3천 곳이 넘는 국내 병원의 폐렴 환자 수만 명을 하루 만에 조사하면서 조사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일고 있다.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10일 이뤄진) 폐렴환자 전수조사 결과 전국에서 1천64개 기관이 참여해 6명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새로 확진자로 판명된 경우는 없었다.

전수조사에서 발견한 메르스 의심 환자 6명은 유전자 검사 결과 음성을 나타냈거나 이미 확진자로 격리 중인 환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 당국이 폐렴 전수조사를 시행한 것은 일선 병원에서 메르스 환자를 단순 폐렴 환자로 오인하고 일반 병실에 방치하는 경우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국내 최초 환자(68)는 단순 폐렴 증상으로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하면서 1차 유행이 발생했다. 14번 환자(35)도 메르스에 감염된 채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3일간 입원했다가 2차 유행을 일으켰다.

확진자를 찾아내지는 못했지만 방역 당국은 이번 조사로 병실·응급실이 메르스 안전지대가 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책본부의 권덕철 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진행 상황으로 봐서는 폐렴 환자가 입원해 있는 병원들의 (입원실·응급실)이 메르스로부터 안전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단 하루 동안 수많은 병원과 환자를 한꺼번에 조사하는 게 실효성이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전수조사는 대책본부와 대한병원협회에서 전국 모든 병원에 폐렴환자 전수조사를 요청해 결과를 보고받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현재 병실·응급실 환자 중 최근 2주 내에 메르스 발생 병원에 들른 적이 있는 15세 이상 폐렴 환자가 있으면 대책본부에 보고하는 방식이다. 15세 미만 대상에 대해서는 추후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전수조사가 이뤄진 10일 폐렴 환자의 입·퇴원을 제한하는 등 대책본부가 강력한 의지를 보였지만, 조사 결과를 보고한 병원은 전체 대상인 30병상 이상 국내 병원 3천160곳 가운데 1천64곳(12일 오전 기준)에 그쳤다.

보고의 기준이 되는 메르스 발생 병원도 평택성모병원, 평택굿모닝병원, 삼성서울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대청병원, 건양대병원 등 6곳으로 제한했다. 최근 환자가 발생하면서 새로운 유행지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병원들은 이 명단에서 빠졌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자료를 보면 입원한 폐렴 환자 수가 4만 명이 넘는다”며 “하루 만에 급하게 폐렴 환자를 찾는 것이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자가 없어서 보고하지 않은 곳이 가장 많겠지만 현재까지 조사 대상의 3분의 2 정도는 전수조사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며 “각 병원에 자료를 보내줄 것을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