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밖’ 총리후보 고심하다 25일 만에 황교안 낙점

‘수첩밖’ 총리후보 고심하다 25일 만에 황교안 낙점

입력 2015-05-21 16:56
업데이트 2015-05-21 1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높은 검증 문턱·본인 고사 등으로 적임자 물색에 어려움발표당일 ‘철통보안’속 황교안·與 대표 1시간전 통보받아후임 법무장관 곧 내정…추가 개각 시기 당겨지지는 않을듯

박근혜 대통령이 21일 신임 총리 후보자로 이른바 ‘수첩밖 적임자’를 찾기 위해 고심을 거듭하다 결국 황교안 법무장관을 새 총리 후보로 지명했다. 이완구 전 총리 사표 수리 이후 25일 만이다.

그동안 인사에 있어 논란을 빚어온 ‘수첩 인사’의 폐쇄성을 벗어나려고 노력했지만 높아진 검증 문턱에 결국 황 후보자를 낙점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가 여권에 회자하고 있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청와대가 후임 총리 인선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은 지난달 27일 박 대통령이 중남미 순방에서 귀국하자마자 ‘성완종 파문’에 휩쓸린 이완구 전 총리의 사표를 수리하면서부터다.

청와대가 고려한 후임 총리의 콘셉트는 ▲청렴성 및 도덕성 ▲개혁 추진력 ▲청문회 통과 가능성 등 3가지였다.

여기에 ‘성완종 파문’으로 인한 지지율 하락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감동을 주는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나 지역 안배나 국론 분열 차단을 위한 통합형 인물이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한 고려 지점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킬 인물을 찾기 위해 청와대 인사·민정 라인에서는 수십 명의 인사에 대한 사전 검증 작업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총리실에서 작성한 47명의 총리 후보군 명단이 외부에 알려지기도 했다.

’누가 사전검증에 동의했다고 한다’ 등의 소문이 퍼지면서 법조계 인사부터 정치인, 관료 출신 등을 중심으로 후임 총리 하마평이 쏟아져나왔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한껏 높아진 국민 눈높이를 만족시킬만한 인사는 거의 없었고, ‘가물에 콩 나듯’ 사전 검증을 통과한 인사 중에서도 청문회 과정에서의 ‘신상 털기’를 우려해 고사하는 이들도 있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러다 보니 박 대통령의 후임 총리 지명은 계속 늦어졌고, 청와대에서는 “사람이 마땅치 않다. 들여다보면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청문회에서 나온 논란을 다 정리해보면 이걸 충족시킬 사람이 누가 있을까”, “청문회라는 게 문제가 많다. 대한민국의 인재는 하나도 못쓰겠다” 등의 탄식성 발언까지 흘러나왔다.

청와대가 적임자 물색에 어려움을 겪자 관가에서는 사전 검증을 통과했지만 본인이 총리직을 고사한 인물들을 재차 설득하기 위해 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삼고초려’에 나섰다는 확인되지 않은 얘기가 돌기도 했다.

이러한 ‘구인난’ 속에서 박 대통령의 6월 중순 미국 방문을 앞두고 후임 총리 지명의 ‘마지노선’이라 할 수 있는 이번 주가 다가왔고, 후임 총리 후보군은 ‘깜짝 인사’보다는 청문회 통과 경험이 있는 법조인 출신 현직 관료나 정치인으로 좁혀진 것으로 보인다.

전날이나 이날 오전 황 후보자나 황찬현 감사원장, 황우여 사회부총리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인선 과정은 철저한 보안 속에서 진행됐다.

박 대통령은 이병기 비서실장에게 발표 시점보다 1시간 앞선 오전 9시께 황 후보자를 낙점했다는 내용를 전하며 발표를 지시했고, 이 실장이 당사자인 황 후보자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여당 지도부에 이를 전달한 시간은 오전 9시15분께라고 한다.

이날 발표가 오전 10시에서 15분 연기되는 해프닝이 발생했기 때문에 황 후보자와 여당 지도부는 공식 발표 1시간 전에야 비로소 통보를 받은 셈이다.

황 후보자가 이날 오전 예정됐던 외부 일정을 전날 오후 개인 사정을 이유로 갑작스레 취소하면서 하루 전에 인선 내용을 통보받은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황 후보자는 전날 ‘최종 후보군에 올랐으니 대기하고 있으라’ 정도의 내용만 전달받았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후임 법무장관은 황 후보자와 총리대행을 맡고 있는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상의해 박 대통령에게 제청하는 절차를 거쳐 “가능하면 황 후보자 인준안 처리 이전에 발표하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총리 후보 지명과 후임 법무장관 인선을 계기로 박 대통령이 조만간 중폭의 추가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지만, 청와대 내부의 시각은 부정적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내년 총선에 출마해야 하는 일부 장관들의 여의도 복귀 때문에 개각 시기가 빨라진다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며 “아직 할 일이 많이 있어서 개각이 있더라도 연말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