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줄 알았는데… ”…뛰는 가슴 안고 금강산行

“죽은 줄 알았는데… ”…뛰는 가슴 안고 금강산行

입력 2014-02-23 00:00
업데이트 2014-02-23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망신고 후 제사 지내고, ‘영혼결혼식’까지 올린 가족도

“죽은 줄로만 알았던 오빠가 살아 돌아오다니요. 이게 꿈인지 생시인지 모르겠습니다.”

전쟁통에 헤어진 가족을 60여 년 만에 만나기 위해 23일 오전 강원도 속초 한화콘도에서 금강산으로 향하는 남측 이산가족 357명은 감격과 기대감에 들떠 있었다.

남측 이산가족 신청자 82명이 북측 가족을 만난 1차 상봉과는 반대로 이날 오후 시작되는 2차 상봉은 북측 신청자 88명이 남측 가족을 만나는 자리다.

남측 가족들은 6·25 전쟁 중에 소식이 끊긴 부모, 형제가 이미 죽었다고 생각하고 살아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전쟁통에 인민군 의용군으로 끌려가거나 잠시 나갔다 온다며 집을 나섰다가 행방불명된 가족들이었다. 사망신고를 신고하고 제사까지 지냈다. 영혼결혼식을 올려준 가족도 있었다.

열여덟 살에 6·25 때 의용군으로 끌려간 뒤 소식이 끊겼다는 오빠 류근철(81)씨를 만나는 정희(69)씨는 “오빠가 돌아오지 않자 어머니는 여기저기 찾으러 다니며 무당에게 점도 봤다”라며 “어떤 무당은 죽었다고, 또 어떤 무당은 살았다고 한 뒤로 찾는 걸 포기했다”라고 말했다.

정희 씨는 “사망신고까지 한 오빠가 살아서 우리를 찾는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기적 같았다”라며 “아직도 죽었나 살았나 믿기지가 않는다”라고 감격해 했다.

전쟁 중에 인민군에 끌려가 죽은 줄 알았던 오빠 신덕균(81)씨를 만나는 동생 수석씨는 “죽은 줄만 알고 있었는데 오빠가 북에서 우리를 찾는다고 연락이 와서 깜짝 놀랐다”라며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했다”라고 말했다.

6·25 때 헤어진 동생 방상목(84)씨를 만나는 누나 례선(89)씨는 “죽은 줄 알고 지내다가 느닷없이 살았다는 소식을 들었다”라며 “살아줘서 고맙다는 말을 꼭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박금화(78)·추대(71)·금순(65)씨는 전쟁통에 이별한 언니 박계화(82)씨를 보러 금강산으로 향했다.

추대 씨는 “돌아가신 부모님이 네 자매 중 큰언니만 전쟁통에 사라진 것을 평생 한으로 생각하고 자주 우셨다”라며 “이제야 비로소 네 자매가 함께 만나게 됐다”라고 말했다.

전쟁통에 소식이 끊긴 오빠 전영의(84)씨를 만나는 경숙(81)씨는 “죽은 줄 알았던 오빠가 나를 찾는다는 연락을 받고 ‘고맙습니다’하며 전화를 붙잡고 울었다”라고 말했다. 미국에 있던 딸도 엄마가 평생 만나길 소원한 삼촌을 보기 위해 이틀 전 한국으로 들어와 동행했다.

열여덟살에 의용군으로 끌려간 후 소식이 끊긴 형 김영택(81)씨를 만나는 영덕(78)씨는 “처음 연락을 받았을 때 너무 기뻐 가슴이 터질 것 같아서 진정하느라 청심환까지 먹었다”라며 “만나면 건강하게 살아남아주셔서 고맙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햇다.

이번에 2차 상봉에 나서는 북쪽 가족은 대부분 남쪽 가족보다 손 위다. 남쪽 가족들 중에는 어릴적 헤어진 가족의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6·25 때 헤어진 누나 조매숙(82)씨를 만나기 위해 동생 돈방(69)씨와 함께 온 돈빈(72)씨는 “누나와 헤어졌을 때 내가 8살, 남동생이 5살이라 누나 얼굴이 잘 기억이 안난다”라며 울먹였다.

죽은 줄 알고 ‘영혼결혼식’까지 시켜줬었다는 언니 홍석순(80)씨를 만나는 동생 명자(65)씨는 “네살 때 헤어져 언니 얼굴도 모르겠다”라며 “만나봐야 알겠다”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인민군에 잡혀갔다는 형 리정우(83)씨를 만나는 영우씨도 “전쟁 당시 나는 돌때라 전혀 기억이 안난다”라면서도 “심장이 콩닥콩닥한다”라고 설레는 마음을 나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