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슬람 아바스 왕조는 8세기 이후 그리스문명을 200년간 집중 번역했을까

왜 이슬람 아바스 왕조는 8세기 이후 그리스문명을 200년간 집중 번역했을까

입력 2013-01-26 00:00
업데이트 2013-01-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리스 사상과 아랍 문명/ 디미트리 구타스 지음 글항아리 펴냄

이탈리아 기호학자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혹은 숀 코너리 주연의 영화 ‘장미의 이름’을 기억하는지. 14세기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 살인사건을 다룬 이 작품의 결론은 이젠 너무 잘 알려졌듯 ‘아리스토텔레스’와 ‘웃음’이다. 영화판 말을 쓰자면 ‘그리스 사상과 아랍 문명’(디미트리 구타스 지음, 정영목 옮김, 글항아리 펴냄)은 ‘장미의 이름’의 프리퀄에 해당한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시야를 틔워 준다. 한국에 이슬람은 여전히 낯설다. 서유럽사만 세계사인 양 배우다 보니 우리도 노랑머리에 파란 눈을 가졌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8세기 이후 중동에서부터 아프리카 북부를 거쳐 스페인 남부까지 이르는 아바스 왕조의 팽창이 대표적이다. 다들 ‘한 손에는 칼, 한 손에는 코란’이란 표현만 기억한다. 저자는 이 시기를 자연스레 ‘팍스 이슬라미카’(Pax Islamica)라고 불러뒀다. 이슬람 패권하의 번영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 전파를 우수한 문화가 열등한 문화로 흘러든다는 식의, 잘 팔리는 애국주의적 관점을 끝내 거부한다는 점이다. 책의 주제는 아바스 왕조가 왜 그리스문명,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8세기 이후 200여년 동안 집중적으로 번역했는가에 있다.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다양한 인종, 종교, 언어를 하나로 묶어내려는 보편 제국의 일반적 필요성이다. 하늘의 뜻이 제국에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해 천문학 등 자연과학 지식이 필요했고, 다양한 교리와 법률을 따지려다 보니 논증이 중요했고, 마침 괜찮아 보이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문명이 있었을 뿐이라는 얘기다. 물론 아라비아어로 번역된 덕분에 잘 보존됐고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토마스 아퀴나스와 르네상스로 이어졌다는 역사적 의의를 인정한다. ‘장미의 이름’에서 보듯, 서구의 기독교 원리주의자들이 ‘한 손에는 성경, 한 손에는 비소’를 들고 방해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럼에도 저자의 태도는 끝까지 쿨하다. 역사적 의의는 인정하면서도 이슬람세계의 행동은 보편 제국이란 관점에서 봤을 때 “특별히 지혜롭다기보다는 그저 실용적이고 분별력 있는 행동”이었을 뿐이란다. 40만권의 장서가 있었다는 아바스 왕조의 왕립도서관 ‘지혜의 빛’에 대해서도 과대평가됐다고 해뒀다. 1만 9000원.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26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