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업비트, 네이버·카카오만큼 벌었다

빗썸·업비트, 네이버·카카오만큼 벌었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8-04-04 23:22
업데이트 2018-04-05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빗썸 작년 당기순익 4272억
네이버 7701억의 55% 수준
카카오 투자한 두나무 순익 비슷

지난해 국내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가 막대한 거래 수수료를 기반으로 네이버와 카카오에 견줄 만한 이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는 각국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며 가상화폐 시장이 냉각돼 수익이 줄어드는 추세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빗썸을 운영하는 비티씨코리아는 지난해 매출액 3334억원을, 당기순이익 4272억원을 기록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2114억원, 1093억원에 달했다.

양대 가상화폐 거래소가 지난해 올린 순이익은 대형 포털사에 비교할 만한 수준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매출액이 4조 6785억원에 달했으나, 당기순이익은 7701억원이었다. 빗썸이 네이버 당기순이익의 55.5%를 낸 셈이다.

카카오가 투자한 두나무는 카카오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두나무의 지분 22.3%를 보유한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액 1조 1093억원, 당기순이익 1275억원을 찍었다. 두나무의 당기순이익은 카카오의 85.7% 수준이다.

가상화폐 가격이 급등해 빗썸은 매출액보다 당기순이익이 크게 나타났다. 매출액은 당초 가상화폐 시가로 수수료를 계산하지만, 당기순이익은 수수료로 받은 가상화폐의 평가이익이 더해진다. 두나무 실적에는 증권거래 서비스 ‘카카오스탁’ 실적도 포함됐으나, 대부분은 업비트가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빗썸과 업비트는 올해 들어 하루 거래액이 지난해 말의 5~10%(4000억~5000억원)로 줄어들면서 가상화폐 결제 편의성을 높이고 블록체인 관련 사업 다각화에 주력하고 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04-05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