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물가 비상] “폭우로 채소품질 안 좋은데 가격 급등, 아무도 안 사요”

[추석물가 비상] “폭우로 채소품질 안 좋은데 가격 급등, 아무도 안 사요”

입력 2017-09-03 10:46
업데이트 2017-09-03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래시장, 주말에도 썰렁…“긴 연휴, 장사 더 안될까 걱정”

“골라서 사면 4천 원, 아무거나 가져가면 3통에 1만 원에 팔아요.”

2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재래시장 입구에서 채소를 팔던 노점상인은 쌈이나 겉절이 용도로 쓰는 작은 크기의 ‘알배기 배추’ 가격을 묻는 말에 이렇게 답했다.

이 상인은 “배추뿐만 아니라 무나 호박 등 채소류 대부분이 폭우와 폭염 탓에 품질이 안 좋은데도 물량이 적어 가격은 오히려 많이 뛰다 보니 사려는 사람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장사하는 입장에서 하나라도 더 파는 게 그나마 낫기 때문에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팔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기자가 찾은 시장에는 주말 휴일임에도 한산한 모습이었다.

상인들은 자신의 점포 앞을 지나가는 사람마다 말을 걸며 ‘뭐가 필요하냐’, ‘마트보다 싸게 주겠다’고 하는 등 물건을 하나라도 더 팔기 위해 적극적으로 호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나마 몇 안 되는 손님들도 가격만 묻곤 이내 발길을 돌리기 일쑤였다.

장을 보러 나왔다는 신 모(45·여) 씨는 “애호박이 한 개에 3천500원이라고 해서 정말 깜짝 놀랐다”며 “파는 사람도 민망한지 가격을 묻자마자 ‘아주 많이 올랐다’는 소리부터 하더라”고 혀를 내둘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집계한 1일 기준 애호박의 평년 소매가격은 1개당 1천470원이었다. 평년 대비 140%나 뛴 가격이다.

계란 판매상들은 매대에 ‘식용란 살충제 검사결과 적합 판정을 받아 안전하다’는 안내문을 크게 붙여놨지만, 마찬가지로 구매하는 손님은 드물었다.

상인 이 모(49) 씨는 “가격이 많이 뛰었을 때는 비싸단 이유로 잘 안 팔렸고, 살충제 계란 파동이 난 이후 값이 많이 내려가 판매가 반짝 늘어나는가 싶었는데, 예전만큼 잘 팔리진 않는다”며 “아무래도 살충제 파동 때문에 손님들이 불안해하는 것 같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날 시장에서는 특란이 한판(30개)에 5천원 대에 판매되고 있었다.

시장에서 만난 상인과 소비자들은 하나같이 곧 다가오는 추석이 더 걱정스럽다고 입을 모았다.

과일 점포를 운영하는 유 모(62) 씨는 “과일은 채소와 달리 올해 사과나 배 등 주요 품목 가격이 예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떨어진 편인데도 잘 안 팔린다”며 “손님들이 전반적으로 지갑을 잘 열지 않으려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유씨는 “대형마트야 물량 공세가 가능하니 할인행사나 선물세트 판매 행사를 하지만 우리 같은 시장 상인들은 명절 대목에 많이 그저 파는 것밖에는 없다”며 “가뜩이나 청탁금지법에 매출 감소는 불 보듯 뻔한 데 연휴가 길어서 더 장사가 안될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주부 김 모(54) 씨는 “명절 직전 성수품 가격이 뛰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지금도 이렇게 비싼데 더 가격이 뛴다고 생각하니 장보기가 벌써 겁난다”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작년 명절보다 음식 가짓수를 줄이거나 아예 간소화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