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에 농협금융

우리투자증권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에 농협금융

입력 2013-12-25 00:00
업데이트 2013-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생명·저축銀도 인수…우리자산운용은 키움증권에

우리금융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우리투자증권 패키지를 농협금융지주가 가져가게 됐다.

이미지 확대
농협금융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우리금융 이사회는 24일 이사회를 열어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농협금융을 선정했다. 우투증권 패키지는 우투증권에 우리자산운용·우리아비바생명보험·우리금융저축은행을 붙인 ‘1+3’ 방식의 매물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인수 가격과 자금조달 능력, 향후 경영계획 등에서 농협금융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여의도 우리투자증권 본사 모습. 연합뉴스
농협금융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우리금융 이사회는 24일 이사회를 열어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농협금융을 선정했다.
우투증권 패키지는 우투증권에 우리자산운용·우리아비바생명보험·우리금융저축은행을 붙인 ‘1+3’ 방식의 매물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인수 가격과 자금조달 능력, 향후 경영계획 등에서 농협금융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여의도 우리투자증권 본사 모습.
연합뉴스
패키지 내 4개 계열사(우투증권·우리아비바생명보험·우리금융저축은행·우리자산운용) 가운데 3개를 농협금융이, 우리자산운용은 키움증권이 인수한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24일 이사회를 열어 우투증권 패키지 매각의 우선협상대상자로 농협금융을 선정했다.

우리금융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이사회를 열어 6시간 가까이 안건을 논의했다. 막판에 불거진 ‘헐값 매각’ 시비와 배임 논란 때문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입찰 가격은 물론 자금조달 계획, 계약서 요구조건, 인수 후 경영능력 등 비가격 부문의 조건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농협금융은 패키지 인수에 약 1조1천500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투증권에 1조원, 생명보험에 600억원, 저축은행에 400억원, 자산운용에 500억원이다.

가격 면에서는 사모펀드인 파인스트리트와 비슷하고, KB금융지주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보인다.

농협금융은 “어려운 결정 과정을 통해 매각 원칙과 기준을 준수하고자 한 우리금융 이사회의 노고와 현명한 판단에 깊은 경의를 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우선협상대상자로서 매도인 측과 긴밀한 협상을 통해 이번 거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파인스트리트는 패키지 인수에 1조1천500억원을 제시했으나, 투자확약서(LOC)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 등 감점 요인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파인스트리트는 “우리금융의 결정은 매각 주체로서의 권한과 책임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한 고심 끝에 내린 결단으로 믿는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우투증권에만 1조1천500억원으로 가장 높게 쓴 KB금융은 생명보험·저축은행의 가치를 마이너스(-)로 평가해 전체 가격은 1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KB금융은 우투증권 개별 입찰에선 최고가를 적어냈지만, 생명보험·저축은행 인수를 사실상 거부해 ‘패키지 일괄 매각’ 원칙에 따라 배제됐다.

패키지 가운데 우리자산운용은 키움증권이 우선협상대상자로 별도로 정해졌다. 키움증권은 자산운용에 800억원의 최고가를 써낸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협상대상자가 된 농협금융과 키움증권은 오는 26일부터 2주간 확인 실사를 하고, 우리금융과 주식매매계약 협상을 거쳐 내년 1월 중 본계약을 체결한다.

우리금융은 지난 8월16일 우리금융 민영화 차원에서 우투증권 등 6개 계열사를 ‘4+1+1’ 방식으로 매각공고를 내고 입찰을 진행해왔다.

이 중 ‘4(3+1)’와 분리 매각된 우리파이낸셜, 우리F&I의 우선협상대상자로는 각각 KB금융과 대신증권이 정해졌다.

우리금융은 지난 20일 이사회를 열어 패키지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할 계획이었지만, 일각에서 ‘헐값 매각’ 시비와 배임 논란이 일자 이를 연기했다.

이날 나머지 4개 계열사의 우선협상대상자가 정해짐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는 한고비를 넘기게 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