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號에 던져진 숙제 ‘패스·집중력·결정력’

홍명보號에 던져진 숙제 ‘패스·집중력·결정력’

입력 2013-09-11 00:00
업데이트 2013-09-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럽파 태극전사’의 가세로 업그레이드된 경기력을 선보였지만 홍명보호(號)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숙제도 보여준 한판 승부였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축구 대표팀은 10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펼쳐진 크로아티아와의 평가전에서 헤딩으로만 먼저 2골을 헌납한 뒤 교체투입된 이근호(상주)가 후반 추가 시간에 헤딩 추격골을 터트리며 1-2로 패했다.

주전급 전력이 많이 빠진 1.5군의 전력으로 나선 크로아티아였지만 탄탄한 조직력과 빠른 역습은 태극전사들이 넘기에는 버거운 산이었다.

특히 후반 중반 체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집중력을 잃고 헤딩으로만 2골을 연속으로 헌납한 장면은 아쉬움이 남는다.

더불어 전반에 상대의 강한 압박을 뚫지 못해 패스 연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부분과 원톱 스트라이커의 활약 부재는 홍명보호의 과제로 드러났다.

◇ 패스-집중력 ‘홍명보호의 숙제’

크로아티아는 이날 최전방부터 수비진까지 20m 안팎의 촘촘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한국의 패스 루트를 사전에 차단했다.

중원에서 한국이 볼을 잡으면 2-3명이 순식간에 압박에 들어가 볼을 빼앗은 뒤 빠른 패스로 역습을 시도해 한국 수비진들을 힘들게 했다.

그나마 유럽파 선수들이 가세해 아이티 평가전을 치르면서 대표팀의 조직력은 한결 좋아졌지만 상대의 강한 압박 상황에서는 좀처럼 공격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이 때문에 수비진에서 최전방 공격진을 향한 공간 패스가 주로 이뤄졌고, 이 역시 신장이 좋은 크로아티아 선수들에게 번번이 차단돼 아쉬움을 남겼다. 그나마 좌우 날개인 손흥민(레버쿠젠)-이청용(볼턴) 조합이 개인기를 앞세운 돌파로 공격을 주도했지만 결정력이 떨어지며 효과를 높이지 못했다.

신문선 명지대 교수는 “유럽파 선수들과 기존 선수들의 호흡이 좋아지면서 팀 공격 전술도 살아나는 모양새를 보였다”며 “손흥민과 이청용의 가세로 한국 축구의 특징인 측면 플레이가 살아나고 있는 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아직도 패스의 질이 좋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선수들의 움직임을 감안해 공간으로 볼을 투입하지만 우리 선수들은 그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비진에서 전방으로 보내주는 패스 성공률을 높여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패스뿐 아니라 후반 중반부터 급격히 떨어진 집중력도 가다듬어야 한다.

후반 19분 헌납한 헤딩 선제골과 후반 25분 헤딩 결승골을 내주는 상황에서 모두 수비수가 자신의 마크맨을 놓친 결과였다. 전반전부터 크로아티아의 빠른 공격에 많이 뛰어다닌 선수들의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신 교수는 “실점 장면이 모두 마크맨을 놓치면서 나왔다”며 “선수들의 체력을 안배해주는 홍명보 감독의 선수 교체 타이밍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원톱 스트라이커 무득점 행진 ‘어찌할꼬’

홍명보호는 출범 이후 여섯 경기를 치렀지만 선발로 나선 원톱 스트라이커가 골을 넣은 게 단 한 번도 없다.

이 때문에 홍명보 감독은 구자철(볼프스부르크)을 원톱 스트라이커로 위치를 바꾸는 등 다양한 전술 실험을 펼쳤지만 해답을 내놓지 못했다.

이날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원톱 스트라이커 역할을 맡은 조동건(수원)은 후반 시작과 함께 교체될 때까지 단 한 번의 슈팅도 보여주지 못할 정도로 전방에서 고립됐다. 스스로 공간을 만들지 못했고, 상대 수비진과의 몸싸움에서도 밀렸다.

홍명보 감독 역시 “원톱 스트라이커로 몇몇 거론되는 선수가 있는데 대안을 찾고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면서 “이 문제가 언제 풀릴지는 모르겠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