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난 차에 앉아 있다가 추가 교통사고…법원 “탑승자도 20% 책임”

사고난 차에 앉아 있다가 추가 교통사고…법원 “탑승자도 20% 책임”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8-01-07 14:47
업데이트 2018-01-07 14: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통사고가 난 차량에 앉아있다가 추가로 또 사고가 났다면 차량에 앉아있던 탑승자에게도 20%의 책임이 있다고 법원이 판결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67단독 서봉조 판사는 딸이 운전하던 차의 조수석에 타고 있던 A씨가 추가사고를 낸 차량의 보험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보험사의 책임을 80%로 제한한다”고 판단했다고 7일 밝혔다.

A씨와 딸이 탄 차는 2013년 12월 19일 눈길에 미끄러져 방음벽과 충돌한 차의 뒷부분을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앞서 또 다른 차도 같은 사고를 낸 상태여서 A씨가 탄 차까지 세 대가 추돌로 엉켜있었다. 그러다 뒤따라오던 차가 또 다시 A씨가 탄 차를 들이받으면서 사고 후 조수석에 앉아있던 A씨가 다쳤다. A씨는 마지막 사고를 낸 차의 보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서 판사는 “운전자인 A씨의 딸은 선행 사고를 야기한 과실과 후행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면서 “당시 차가 위험한 도로에 정차하는 바람에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등 스스로의 안전을 도모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게을리 한 잘못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A씨와 딸이 신분상 또는 생활관계상 일체를 이루고 있어 딸의 과실을 A씨의 과실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 판사는 그러면서 “이들의 과실로 사고의 발생 및 손해가 확대된 원인이 됐고 그 과실비율은 20%”라며 A씨와 딸이 탄 차를 들이받은 차량의 보험사의 배상책임을 80%로 제한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