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색 갈대밭 ‘핑크뮬리’ 생태계 위해 식물

핑크색 갈대밭 ‘핑크뮬리’ 생태계 위해 식물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10-11 14:43
업데이트 2020-10-11 1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지난해 생태계 위해성 2급 지정
식재 자제 요청에도 전국에 축구장 14배 규모 조성

‘핑크색 갈대밭’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핑크뮬리’가 생태계 위해 생물종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핑크뮬리는 지난해 12월 ‘생태계 위해성 2급’으로 지정돼 환경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식재(조성)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국립생태원이 2014년부터 생태계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외래 생물을 선정해 생물 특성, 서식 현황, 위해성 등을 평가하면 환경부가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는 생물종에 대해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 관리한다.

지난해 5개 외래종에 대한 ‘외래 생물 정밀조사’ 결과 핑크뮬리는 생태계 위해성 2급 평가를 받았다. 생태계 교란 생물(생태계 위해성 1급)로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생태계 위해성은 보통이나 향후 생태계 위해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는 경우 확산 정도 및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는 생물이다. 지자체 등에는 하천, 도로, 공원 등에 외래생물인 핑크뮬리의 식재를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외래 생물 정밀조사 결과 핑크뮬리는 전국 37개 시민공원과 개인 농장 등에서 축구장 14배 규모인 10만㎡ 이상 식재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 9869㎡로 가장 많았고 제주(1만 4600㎡), 전북(1만 3120㎡), 부산(1만 2583㎡), 경북(1만 1449㎡) 순이다. 핑크뮬리가 SNS와 미디어 등에서 화제가 되면서 방문객 유치를 위해 식재를 확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송 의원은 “환경부가 핑크뮬리 식재 자제를 권고하고 있으나 일부 지자체에서 ‘핑크뮬리 군락지’ 조성을 계획하는 등 외래 생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생태계가 파괴되면 복구와 복원에 막대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만큼 무분별한 확산을 막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