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표절 의혹 재점화… 청문회 벽 넘을지 주목

논문 표절 의혹 재점화… 청문회 벽 넘을지 주목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7-06-12 23:02
업데이트 2017-06-13 0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사논문 출처 모호 80곳 확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 문제 제기

서울대 “44개 부분서 인정 되나 ‘부정’보다 ‘부적절 행위’ 해당”
金 후보자 “청문회서 말하겠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석사논문 90쪽(오른쪽). 이시다 가즈오의 논문 내용(왼쪽)을 번역하고 순서를 바꿔 수록했지만, 출처 표시가 없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석사논문 90쪽(오른쪽). 이시다 가즈오의 논문 내용(왼쪽)을 번역하고 순서를 바꿔 수록했지만, 출처 표시가 없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지명되면서 그의 석·박사 논문표절 의혹이 재점화하고 있다. 청와대가 김 후보자 지명을 발표하면서 “결정적 흠결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의 벽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서울대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1982년 서울대 대학원 경영학과에서 ‘기술변화와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어 같은 대학원에서 1992년 ‘사회주의 기업의 자주관리적 노사관계 모형에 관한 연구: 페레스트로이카 하의 소련기업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모두 최종태 교수였다.

논문표절 검증 기관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는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당내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자의 석·박사 논문표절 의혹을 제기하고 서울대에 김 후보자를 제소했다.

예컨대 김 후보자의 석사논문에서는 이시다 가즈오의 ‘현대기술과 기업노동’(1978)을 도표를 포함해 수십개 문장을 직역해 붙여 넣은 것이 발견됐다. 특히 90~94쪽까지 5쪽은 이시다 가즈오의 논문 내용을 순서를 바꿔 짜깁기하고서 수록했는데도 출처 표시가 없었다. 박사논문도 오쿠바야시 코지의 ‘소련의 노동내용론’(1983), 카이도 스스무의 ‘사회주의 경영학의 발전’(1983), 사사카와 기사부로의 ’사회주의 기업의 구조‘(1985) 등의 저서 등에서 석사논문과 비슷한 방식으로 구성한 부분이 확인됐다. 황의원 검증센터장은 “출처 표시를 아예 하지 않거나 표시했더라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용한 것인지 알 수 없는 부분, 다른 이가 인용한 부분까지 그대로 재인용한 부분, 그리고 다른 이의 핵심 아이디어를 표현만 바꿔 수록해 자신의 의견처럼 주장한 부분들이 석사논문에서 적어도 130군데, 박사논문에서는 80군데에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박사논문을 검증했던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도 지난해 10월 이와 관련해 “44개 부분에서 정확한 출처표시 없이 사용됐다”고 인정했다. 다만 서울대는 “완전하게 연속된 2개 이상의 문장을 동일하게 사용한 경우는 없으므로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정하기 어렵고 ‘연구부적절행위’에 해당한다”며 자체 기준에 따라 당시 조사를 하지 않고 종결했다. 한편 이날 서울 여의도에 인사청문회 사무실을 꾸린 김 후보자는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 이렇다 할 설명 없이 “청문회에서 말하겠다”고 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7-06-13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