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정성적 평가’ 추세… 학생부 독서활동 ‘정독습관’ 중요

대학입시 ‘정성적 평가’ 추세… 학생부 독서활동 ‘정독습관’ 중요

입력 2017-04-07 11:07
업데이트 2017-04-07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치 독서관리 한번에 정리 ‘북플’, 독서를 위한 전문플래너 관심

이미지 확대
올해부터는 학생부에서 독서활동 기재 방식이 책 제목과 지은이만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면접을 통해 독서이력을 직접 검증하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철저하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읽은 책의 내용을 입시 때까지 잘 기록해 둬야 하며 자기소개서나 면접 준비에서도 해당 도서 내용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올해부터는 학생부에서 독서활동 기재 방식이 책 제목과 지은이만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면접을 통해 독서이력을 직접 검증하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철저하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읽은 책의 내용을 입시 때까지 잘 기록해 둬야 하며 자기소개서나 면접 준비에서도 해당 도서 내용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입시의 무게중심이 정량적 평가에서 정성적 평가로 이동하고 있는 추세다. 숫자로 표기된 학생부 교과 성적이나 수능 등급, 백분위, 표준점수 등에 근거한 평가가 ‘정량적 평가’라면 ‘정성적 평가’는 학업에 대한 기본 소양과 적합성, 잠재력, 발전가능성, 인성 등 수치화 할 수 없는 항목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정성적 평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독서 이력이다. 고등학교 입시에서는 자기주도학습전형을 통해, 대학교 입시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지원자의 ‘독서활동’을 점검하는 것 또한 정성적 평가와 맥을 같이 한다. 학생의 지적 호기심, 탐구력, 전공 적합성 등과 지식의 확장 및 지식끼리 연결하는 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 중 학생이 읽은 책을 잘 기록해 두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지원자의 독서목록이 곧 자기주도학습의 포트폴리오가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학생부에서 독서활동 기재 방식이 책 제목과 지은이만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면접을 통해 독서이력을 직접 검증하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철저하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읽은 책의 내용을 입시 때까지 잘 기록해 둬야 하며 자기소개서나 면접 준비에서도 해당 도서 내용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김샘입시전략연구소에서 최근 발간한 ‘북플’은 면접을 대비한 3개년 전략적 독서플래너이다. 학교생활을 하는 3년 동안 읽은 책, 총 40권 정도를 한 권의 플래너에 정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제 면접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을 토대로 독후활동을 정리할 수 있으며 책을 꼼꼼히 읽도록 유도해 정독습관을 들이는 데에도 유용하다.

김샘입시전략연구소 관계자는 “학생부에는 읽었다고 기재된 책을 면접관에게 잘 설명하지 못한다면 입시에서 불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책을 읽는 것만큼이나 그 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북플’에서 제시된 항목대로 책을 읽고 정리해 둔다면 성공적인 면접뿐만 아니라 책을 제대로 읽고 정리하는 능력 또한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략적 독서를 위한 북플래너, 북플은 시중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