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 동기부여 필수… 개성 발산할 시간 줘야

[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 동기부여 필수… 개성 발산할 시간 줘야

입력 2010-09-07 00:00
업데이트 2010-09-07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의적인 학생 가르치려면

호기심이 많다, 다른 아이들에 비해 질문이 많다, 자신만의 세계를 갖고 있다, 자신의 고집을 쉽게 꺾지 않는다, 아이디어가 많고 다양한 방법으로 탐색한다….

창의적인 아이들에 대한 이런 일반적인 특성은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 된다. 특히 교실 등에서 집단 생활을 할 때 이런 특성들이 전체적인 수업 분위기를 흐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질문이 많기 때문에 전체적인 수업 진도가 늦어지고, 자신만의 세계를 갖기 때문에 다른 학생이나 교사와 의견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얘기다.

●‘콩나물 교실’ 사라지는 추세

에디슨이나 아인슈타인이 우리나라에서 태어났으면 낙제했을 것이라는 말이 ‘뼈 있는 농담’으로 회자되지만, 창의성이 높은 학생을 가르치기 부담스러운 게 비단 우리 교육만의 특징은 아니다. 창의적인 학생에 대한 교수법 연구가 하나의 연구분야로 활성화되어 있다는 점이 이를 입증한다. 물론 빈약한 재원과 높은 교육열 덕에 교사 한 명에 학생이 빽빽이 들어선 ‘콩나물 교실’ 형태로 공교육을 시작한 한국에서는 학생의 개성이 무시되는 측면이 강했다. 이 같은 물리적인 제약이 사라지면서 아이의 개성을 북돋고, 창의성을 키우려는 시도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특히 자녀의 창의성에 주목하는 학부모가 늘어나면서, 교사들도 창의성 교육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영어 교사를 가르치는 ‘교사의 교사’인 YBM원격교육연수원 박상효 강사는 “영어 교육에서 창의력을 강조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동기 부여를 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학창 시절을 영어권 국가에서 보낸 적이 없는 그는 “좋아하는 영어 소설을 읽다가 어떤 대목에서 ‘주인공이 이런 식으로 말하면 더 좋지 않았을까.’라고 막연히 생각하다가 다른 소설에서 비슷한 표현을 보면 선물을 받은 것처럼 좋아 영어에 더 빠져든 기억이 있다.”면서 “언어나 문화를 배울 때 상상력을 활용하기 위해 창의성은 필수”라고 설명했다.

●“재능없는 아이는 없어”

‘그림으로 말하는 아이’라는 책의 저자인 이지연 아트플러스 콘텐츠개발연구소장은 “부모 세대가 미술학원에 다닐 때 며칠 만에 재능이 있고 없음을 평가받은 경험이 있겠지만, 사실은 재능이 없는 아이는 없다.”면서 “어떤 학생이 개성을 충분히 발산하고 스스로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면, 각자의 창의성을 모두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9-07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