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통도사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물감 그릇

[포토] 통도사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물감 그릇

김태이 기자
입력 2022-08-08 13:57
업데이트 2022-08-08 1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통도사에서 조선시대 채기(彩器·물감그릇)가 발견됐다.

통도사 성보박물관은 통도사 중로전 중심전각이면서 보물인 대광명전(大光明殿)에서 조선시대 채기 1점을 찾아냈다고 8일 밝혔다.

통도사는 지난 7월 대광명전 단청 기록화 조사사업을 하던 중 이 채기를 발견했다.

대광명전 후불벽 고주기둥 상부 주두(장식 자재) 위에 채기가 얹힌 상태였다.

천장 쪽 기둥 위쪽에 채기가 놓여 있어 밑에서는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었다.

직경 15㎝, 높이 7.5㎝, 굽 직경이 5.5㎝인 이 채기는 조선 후기 백자분청사발에 속하며 당시 전형적인 막사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성보박물관은 그릇 안쪽에 쌓인 먼지, 채기 안 말라붙은 안료 상태 등으로 볼 때 1759년 시행된 단청 공사 때 단청화승(단청을 그리는 승려)이 고주 주두에 놓은 채로 공사를 마친 후 잊어버린 것으로 봤다.
온라인뉴스부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