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국정농단’ 재판 9개월만에 결심…‘불법사찰’로 또 재판

우병우 ‘국정농단’ 재판 9개월만에 결심…‘불법사찰’로 또 재판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9 16:22
업데이트 2018-01-29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장 2차례 기각 끝에 결국 구속…이석수 전 특별감찰관 등 증인으로 나서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재판이 29일 마무리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이영훈 부장판사)는 이날 우 전 수석의 결심공판을 열고 선고만 남긴 채 모든 심리를 종결했다. 지난해 4월 재판에 넘겨진 지 9개월여 만이다.

우 전 수석의 국정농단 관련 재판은 이날 1심이 마무리됐지만, 추가 기소된 불법사찰 사건은 30일 첫 재판을 앞두고 있다.

◇ 9개월 만에 결심…세월호 수사검사 등 증인신문

우 전 수석은 2016년 8월부터 개인 비위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었다.

개인 비위 수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면서 우 전 수석은 최씨가 저지른 각종 비리를 알고도 묵인한 혐의로 본격적인 수사 대상에 올랐다.

박영수 특별검사팀, 검찰 국정농단 특별수사본부가 잇따라 우 전 수석을 수사하며 법원에 구속영장을 각각 청구했지만 모두 기각됐다. 일각에서는 ‘우병우의 철벽 수비’를 뚫지 못했다는 비아냥이 나오기도 했다.

우 전 수석은 결국 박근혜 정부 고위급 인사 중 유일하게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정농단 사태의 ‘마지막 거물’로 불리며 지난해 4월 재판에 넘겨졌다.

법정에 선 우 전 수석은 수사 때와 마찬가지로 모든 혐의를 부인했다. 자신에 대한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의 감찰을 방해하고, 검찰의 세월호 참사 관련 수사에 개입하고도 이에 관해 위증한 혐의 역시 부인했다.

반면 재판에 증인으로 나온 이석수 전 감찰관은 우 전 수석으로부터 ‘선배가 나에게 이럴 수 있느냐’ 등 불만을 토로하는 전화를 받았다는 증언을 내놨다.

세월호 수사검사였던 윤대진 당시 광주지검 형사2부장 역시 해양경찰청 압수수색을 앞두고 ‘안 하면 안 되겠느냐’라는 취지의 전화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 ‘불법사찰’ 혐의로 결국 구속…30일 새로운 재판 시작

재판이 막바지에 이른 지난해 12월 15일 우 전 수석은 국정원을 동원해 공무원과 민간인에 대한 불법사찰을 벌인 혐의로 구속됐다. 수사기관이 법원에 구속영장을 청구한 지 3번째 만이다.

우 전 수석은 구속 열흘 만에 구속이 합당한지 판단해달라며 법원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검찰은 이달 4일 우 전 수석을 불법사찰 관련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불법사찰 사건 재판은 형사합의31부(나상용 부장판사)에 배당돼 30일 첫 공판준비기일을 앞두고 있다. 우 전 수석은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는다.

국정농단 재판과 달리 공범 관계에 있는 관련자들의 사건이 비슷한 시기에 같은 재판부에 넘겨진 만큼 함께 재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우 전 수석에게 불법사찰 관련 내용을 비선 보고한 혐의를 받는 추명호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과 이를 승인한 혐의를 받는 최윤수 전 국정원 2차장이 우 전 수석의 기소 시점을 전후해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부는 이날 세 사람의 재판을 열어 공소사실이 공통되는 부분에 대한 심리를 병합해서 진행할지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