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당시 의료진 14명 근무…신고없는 당직의는 불법”

“화재 당시 의료진 14명 근무…신고없는 당직의는 불법”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9 14:56
업데이트 2018-01-29 14: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밀양시 “세종병원 근무 인력 적정 여부는 더 확인 해봐야”

경남 밀양시는 화재참사 당일 아침 세종병원에 의사를 포함해 14명이 근무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출근카드 등을 통해 당직의사 1명, 간호사·간호조무사 11명, 간병사 3명이 일한 것으로 파악했다.

당직의사는 1층에 있었고 간호사·간호조무사는 2∼6층에 걸쳐 층마다 1∼4명 씩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세종병원 병실에는 6층에 머물던 요양병원 소속 환자 16명을 포함해 입원환자 99명이 있었다.

밀양시 관계자는 “사고 때 상근 의사는 아니지만 당직 의사 1명이 근무중이었고 층별로 담당 간호인력이 있었다”며 “근무 인력이 적정했는지는 좀 더 확인을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밀양시는 다만, 세종병원이 신고 없이 상근 의사가 아닌 인력을 당직 의사로 쓴 것은 법을 어긴 것으로 판단했다.

의료법상 의료기관은 소속 상근 의사가 아닌 다른 의료기관에 속한 의사를 대진의(당직·진료를 대신하는 의사)를 쓸 수 있다.

그러나 이때는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관련 내용을 신고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태료 대상이다.

천재경 보건소장은 “세종병원이 신고를 하지 않고 당직의사를 부른 것으로 안다”며 “의료법상 불법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안타깝게도 세종병원에서 임시 당직을 서던 의사 민모(59)씨는 이번 화재로 목숨을 잃었다.

생존자들은 민 씨가 숨지기 전까지 환자들을 대피시키려고 뛰어다녔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