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민등록 5178만명… 65세 이상 14.2%

작년 주민등록 5178만명… 65세 이상 14.2%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1-09 22:38
업데이트 2018-01-10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0~14세 인구 전년비 0.3%P↓

고령화 심화… 용인 100만 돌파
경기·세종 늘고 서울·부산 줄어
여성, 남성보다 6만여명 더 많아

최근 10년간 주민등록 인구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증가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세 미만 인구는 줄어드는 데 반해 65세 이상 인구는 늘어나고 있어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7년 말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7만 8544명이다. 여성이 2592만 2625명, 남성이 2585만 5919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다. 그 중 0~14세는 678만 5965명(전체인구의 13.1%)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6년 말보다 0.3% 포인트 줄었다. 15~64세는 3763만 6473명(72.7%)으로 같은 기간 0.4% 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35만 6106명(14.2%)으로 1년간 0.7% 포인트 증가했다. 14세 이하 인구는 2008년부터 매년 줄고 있다.

저출산 기조로 인구가 증가하는 규모 또한 줄어들고 있다. 2010년 주민등록 인구는 약 5052만명으로 2009년(4977만명)에 비해 1.5% 증가했지만, 이후 2017년까지 매년 인구 증가율은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 인구증가율은 0.16%에 불과했다. 2008년 이후 10년간 늘어난 인구가 약 224만명(4.5%) 정도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016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세종, 충남, 제주 등 7곳이었다. 서울, 부산, 대전, 전북, 대구, 경북 등 10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했다.

지난 10년 사이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인천, 세종, 충남, 경남 등 8곳으로 자연적 요인인 출생과 다른 도시로부터의 유입이 많았다. 울산, 광주, 대전, 경북 등은 주민등록 인구 수는 증가했지만, 다른 시도로 유출된 인구도 많았다. 인구가 감소한 서울, 부산, 대구, 전북 4개 지역은 유출 인구가 많았으며, 전남은 자연적 사망과 유출 모두 많았다.

경기 용인은 1년간 1만 2955명이 늘어 총 인구 100만 4081명으로 지난해 9월 말 기준 수원, 창원, 고양에 이어 4번째로 인구 100만 시에 입성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8-01-10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