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1년…교직원 85%·학부모 83% “촌지 관행 사라졌다”

김영란법 1년…교직원 85%·학부모 83% “촌지 관행 사라졌다”

입력 2017-09-24 10:20
업데이트 2017-09-24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교육청 5만5천명 온라인 조사…82%·76% “부정청탁 없어져”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 A씨는 지난 3월 졸업생인 제자 B군이 자신의 부친상에 조문와 낸 부의금 5만원을 돌려줬다.

B군 동생이 자신이 일하는 중학교에 다니는 것을 알고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저촉될까 우려했기 때문이다.

서울시교육청은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아 학부모 3만6천947명과 교직원 1만8천101명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부정청탁금지법과 관련해 이 정도 대규모 조사는 없었다고 교육청 측은 밝혔다.

조사 결과 학부모 87%(3만2천231명)가 ‘부정청탁금지법이 교육현장에 잘 정착하고 있다’는 데 동의했다. 또 같은 비율의 학부모가 법이 시행되면서 이전에 관행적으로 이뤄진 부탁·접대·선물을 ‘부적절한 행위’로 인식하게 됐다고 밝혔다.

사회 전반에 청탁금지법이 정착됐다고 답한 학부모 응답자는 전체의 77%로 조사돼 교육현장의 정착 속도가 다른 분야보다 앞선 것으로 평가했다.

교직원의 경우 95%(1만7천92명)가 ‘서울시교육청 내에서 청탁금지법이 잘 지켜지고 있다’고 답했다.

부정청탁금지법이 가져온 변화에 대해 학부모 95%(3만5천188명)와 교직원 92%(1만6천572명)가 ‘교육현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학부모는 2%, 교직원은 5%였다.

학부모 76%와 교직원 82%는 부정청탁금지법으로 실제 부정청탁이 사라졌다고 생각했다. 부정청탁금지법이 시행돼 촌지 등 금품수수가 없어졌다는 응답자는 학부모가 83%, 교직원이 85%였다.

부정청탁금지법이 시행되면서 교육현장에 나타난 변화(복수응답)로 학부모들은 ‘학교 방문 시 선물준비 등 부담감소’(8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선물과 식사 접대 감소’(63%), ‘촌지 등 금품수수 관행 근절’(62%) 등이 뒤를 이었다.

‘업무처리의 투명성 증대’를 고른 학부모는 16%, ‘교직원의 차별 없는 대우’와 ‘성적 평정의 공정성 증대’를 선택한 이는 각각 15%와 12%였다.

이번 조사에서 학부모의 95%가 ‘부정청탁금지법 시행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학부모는 1%에 그쳤다.

부정청탁금지법이 시행돼 정상적인 사회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이 있는지 묻자 교직원의 94%가 ‘그렇지 않다’고 했다.

긍정적인 평가에 견줘 부정청탁금지법을 잘 안다는 비율은 낮았다.

부정청탁금지법 세부사항을 잘 안다거나 대체로 잘 안다는 학부모는 73%였고 교직원은 89%였다.

그러나 부정청탁금지법이 완벽히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지난 3월 한 사립초등학교에서는 신입생 추첨 때 탈락한 설립자 증손자를 정원 외로 추가 입학시켰다가 적발됐다.

한 사립고등학교에서는 교사들이 같이 일하던 기간제교사를 정교사로 채용해달라고 채용위원에게 청탁한 사실이 내부고발로 드러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