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이 끝난 뒤’ 詩 들으며 떠나다

‘연극이 끝난 뒤’ 詩 들으며 떠나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7-09-07 22:38
업데이트 2017-09-08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故 마광수 전 교수 영결식

고 마광수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세상과 마지막 작별을 고했다.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 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의 발인이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 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지난 5일 별세한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의 발인이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고인의 영결식이 열린 7일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병원 장례식장은 분노 섞인 울음과 흐느낌으로 가득했다. 한 시간가량 진행된 영결식에는 연세대 13학번 제자의 트럼펫 연주곡 ‘대니 보이’가 울려 퍼졌다.

마 전 교수의 제자인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추도사에서 “선생님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학생들도 선생님의 사고방식과 자유로움, 해박함에는 고개를 숙였던 것을 기억한다”면서 “선생님은 늘 가면을 벗을 솔직함을 강조했고, 그렇게 살아 오셨다”고 눈물지었다. 마 전 교수의 제자이자 마 전 교수가 필화를 겪게 한 그의 소설 ‘즐거운 사라’ 영화 제작을 추진했던 임장미 감독은 “(마 전 교수의 죽음은)사회적 타살”이라면서 “답답한 대한민국의 위선과 가식을 벗어던진 순수한 영혼이었던 사람을 감옥에 가둔 이 사회를 용서할 수 없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날 영결식에도 문학계 인사들은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1992년 ‘즐거운 사라’ 필화 사건 당시 책을 낸 출판사 청하의 편집위원으로 고인 구명운동을 벌였던 하재봉 시인과 소설가 하일지, 김별아 정도가 눈에 띄었다. 다른 참석자들은 대부분 가족과 지인들, 그가 가르쳤던 1980년대 제자들이었다. 마 전 교수의 고교 동창이자 최근까지 가깝게 지냈던 심강일(67)씨는 마 전 교수의 생전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의 시 ‘연극이 끝난 뒤’를 추도시로 낭송하며 친구를 떠나보냈다.

“헤어지는 것을 아쉬워하나요/ 잊혀질 것을 두려워하나요/ 아 어차피 인생은 연극인 것을/ 우리의 그 마지막 대사를/ 다시 한 번 외어 보아요/ 그래, 정말 보람이 있었수?”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7-09-0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