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고승환 교수팀, 나노 미세먼지 필터 개발

서울대 고승환 교수팀, 나노 미세먼지 필터 개발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07-10 11:14
업데이트 2017-07-10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노 레터스 온라인판 게재

서울대는 고승환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지도하는 응용 나노 및 열공학 연구실이 금속 나노와이어 기술을 이용한 고효율 미세먼지 필터를 제작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상용되는 미세먼지 필터는 ‘필터식’과 ‘집진식’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필터식은 미세섬유 구조를 적용해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이고, 집진식은 전기방전을 이용해 집진판에 먼지를 모으는 방식이다. 필터식은 필터 구멍보다 작은 입자를 걸러내지 못하고, 집진식은 전기방전 과정에서 오존이나 질소산화물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투명전극에 주로 쓰이는 나노와이어를 기존 필터 구조에 적용했다. 필터식과 집진식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금속 나노와이어 네트워크를 형성해 전압을 가하면 미세한 전기장이 형성돼 필터의 구멍보다 작은 미세먼지 입자도 전기 인력으로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고 교수는 “한 장의 필터로도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을 뿐 아니라 필터를 세척해 재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이라고 소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의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