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우리 사회 포용적 성장 필요” 74.9%

[단독] “우리 사회 포용적 성장 필요” 74.9%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7-07-09 22:28
업데이트 2017-07-10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본지·엠브레인 1000명 조사

“빈부격차·양극화 심각” 59.1% “고용문제 최우선 과제” 43.7%

국민 4명 중 3명은 우리나라가 ‘포용적 성장’의 길을 걷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는 빈부격차와 사회양극화 문제가 심각하다고 우려하고 고용 문제와 대기업 편중 경제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신문과 리서치 기업 엠브레인이 지난달 26~29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62.6%는 포용적 성장을 들어봤거나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포용적 성장은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자는 전략이다.

이어 24.0%는 포용적 성장에 ‘매우 찬성’, 50.9%는 ‘찬성’에 손을 들었다. 둘을 합쳐 74.9%가 포용적 성장이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고 답했다. ‘매우 반대’(1.6%)와 ‘반대’(4.2%)는 5.8%에 그쳤고 나머지 19.3%는 찬반을 밝히지 않았다.

포용적 성장의 필요성에는 모든 계층이 공감대를 나타냈다. 연령별로는 40대(78%)와 30대(77.2%)의 찬성률이 높았고 가장 낮은 20대(69.8%)도 70%에 육박했다. 지역별로는 광주(88.9%)와 대전(87.3%) 등에서 80%를 웃돌았다. 가구 소득별로는 연 5000만~7000만원(79.1%)이 가장 많이 찬성했다. 연 7000만~1억원(75.9%) 등 고소득층에서도 찬성이 압도적이었다.

포용적 성장이 필요한 이유로는 ▲빈부 격차와 사회 양극화 59.1% ▲기회의 불평등 28.7% 등이 꼽혔다. 포용적 성장의 과제로는 43.7%가 고용 문제(취업난·임금격차 등)를 골랐다. 대기업 편중과 자영업자 몰락 등 경제구조 문제 해결(35.4%)을 바라는 목소리도 높았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07-10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