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인 가구 261만명…5년새 17.7% 급증

여성 1인 가구 261만명…5년새 17.7% 급증

장은석 기자
입력 2017-06-27 17:09
업데이트 2017-06-27 1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여성 중 261만명이 혼자 사는 1인 가구로 조사됐다.
여성 1인 가구 261만명
여성 1인 가구 261만명
여성 1인 가구는 5년 새 17.7%나 급증했다. 여성 1인 가구의 절반 이상은 월 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었다.

27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7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여성 1인 가구는 261만 가구에 달했다. 2000년 130만 4000가구에서 15년 사이 배로, 5년 전에 비해서도 17.7%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43.2%로 가장 많고 20대(15.4%), 50대(15.3%)가 뒤를 이었다. 남성 1인 가구가 20대 미만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 고르게 분포한 반면 여성은 50대 이상에 집중됐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통계청은 2045년 여성 1인 가구가 388만 2000가구로 늘고 이 가운데 70세 이상이 27.9%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60대와 20대는 각각 5%, 50대와 30대는 각각 3%를 조금 넘는 수준으로, 7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여성 1인 가구의 56.9%는 월 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었다. 같은 소득 수준의 남성 1인 가구는 29.5%에 불과했다. 특히 60세 넘어 혼자 사는 여성은 80.2%가 월 100만원 안 되는 소득으로 생활했다.

주거형태를 보면 단독주택이 50.4%, 아파트가 30.9%, 연립·다세대 주택이 10.4%였다. 단독주택에 사는 여성 1인 가구는 20대 미만이 71.1%로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아파트 거주 비율이 늘었다. 40대는 38.3%, 50대는 38.6%가 아파트에서 생활했다.

주택 점유형태도 연령대별로 크게 달랐다. 60세 이상은 65.2%가 자기 집, 11.9%는 전세, 14.9%가 보증금 있는 월세에 살았다. 반면 20대는 자기 집 비율이 4.4%에 불과했고 63.2%가 보증금 걸린 월세로 거주했다.

혼자 사는 여성의 68.0%는 아침 식사를 했다. 20대는 24.3%, 30대는 33.9%만 아침을 먹었다. 1인 가구 여성은 아침 식사를 하고 적정한 수면을 취하는 비율이 전체 여성보다 낮았다. 반면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은 높았다.

지난해 기준 흡연율은 6.9%였다. 전체 여성 흡연율에 견주면 2∼3배 높지만 2년 전보다 2.2%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81.5%는 하루 10개비 이하 흡연자였다. 음주율은 43.9%로 2년 전보다 1.6%포인트 증가했지만 전체 여성(52.3%)보다는 낮았다.

여가시간은 주로 TV 시청(52.7%)으로 보냈다. 여성 전체(44.6%)나 남성 1인 가구(41.0%)에 비하면 TV를 많이 봤고 나이가 많을수록 TV 시청 비율이 높았다. 1년간 영화·연극·스포츠 등 문화·예술 활동을 관람한 비율은 42.0%로 여성 전체(67.7%)와 남성 1인 가구(58.8%)보다 낮았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