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천’ 윤갑근 등 4명 전원 사표…검찰 ‘인적쇄신’ 현실로

‘좌천’ 윤갑근 등 4명 전원 사표…검찰 ‘인적쇄신’ 현실로

입력 2017-06-08 13:57
업데이트 2017-06-08 15: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갑근·김진모·전현준·정점식 등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전보 발령 후 사의 후속 간부 인사 폭 커질 듯…“소명 기회·설명도 없어” 반발 기류도

고검장·검사장급에서 한직인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좌천성 인사 발령을 받은 윤갑근(53·사법연수원 19기) 대구고검장 등 검찰 고위 간부들이 모두 사의를 표명했다.

8일 검찰에 따르면 윤 고검장과 김진모(51·19기) 서울남부지검장, 전현준(52·20기) 대구지검장, 정점식(52·20기) 대검찰청 공안부장 등 4명은 이날 법무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법무부가 인사 발령을 내면서 “과거 중요 사건에 대한 부적정 처리 등의 문제가 제기됐던 검사”로 자신들을 지목하자 더는 자리에 연연할 필요가 없게 됐다는 뜻을 주변에 밝히 것으로 전해졌다.

윤 고검장은 작년 ‘우병우 특별수사팀’ 팀장을 맡아 가족회사 ‘정강’ 횡령 의혹 등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개인 비위 의혹을 수사했지만 우 전 수석을 무혐의 처분했다.

우 전 수석과 대학·사법시험·연수원 동기인 김 지검장은 2014년 세월호 사건 수사 때 대검 기획조정부장을 지냈다. 당시 대검 형사부는 실무 수사를 맡은 광주지검과 업무 연락을 하고 상황을 조율하면서 갈등을 빚었다는 설도 있다.

전 지검장은 우 전 수석의 대학 동기로 가까운 사이로 알려졌다. 2009년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장으로 있을 당시 광우병 논란을 보도한 PD수첩 제작진이 허위 보도를 했다며 기소했지만, 대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

정 부장은 검찰 주요 공안 사건을 처리해온 대표적인 ‘공안통’ 검사다. 박근혜 정부에서 통합진보당 수사에 이어 해산 논리를 주장한 법무부 위헌정당 TF 팀장을 맡아 헌법재판소 변론을 이끌었고 정치권 일각에서 ‘편파 수사’ 지적이 나오기도 한 4·13 총선 수사를 지휘했다.

이들 외에 이번 인사를 지켜본 검찰 고위 간부 가운데 ‘자발적인’ 사의 표명자가 추가될 수 있다는 얘기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이에 따라 향후 단행될 검찰 후속 인사의 폭이 예상보다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편 검찰 일부에서는 법무부가 이번 인사 과정에서 당사자에게 최소한의 소명 기회를 주거나 전보 사유를 설명해 주지도 않은 채 고위 검사들을 사실상 ‘불명예 검사’로 낙인찍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는 점에서 통상의 형식과 너무 다르다며 반발하는 기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