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비망록’ 증거로 인정되나…김기춘, 특검과 신경전

‘김영한 비망록’ 증거로 인정되나…김기춘, 특검과 신경전

입력 2017-04-17 16:01
업데이트 2017-04-17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검 “감정 신청” vs 변호인 “실제 김영한이 작성했는지 동의 못해”

이른바 ‘블랙리스트’ 사태에 연루돼 기소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고(故) 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비망록을 증거로 인정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박영수 특별검사팀과 법정에서 신경전을 벌였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황병헌 부장판사)는 17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 된 김기춘 전 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속행공판을 열었다.

특검은 이날 김영한 전 수석의 비망록을 검증해달라고 신청하면서 “비망록 원본을 가져왔는데 증인 신문이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원본과의 동일성, 기재한 형태를 다 같이 검증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특검은 비망록을 증거로 사용하겠다고 신청했으나 김 전 실장 측이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검찰이 제출한 문서가 증거로 쓰이는 데 변호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작성자를 증인으로 불러 직접 쓴 것이 맞는지, 어떤 의도로 작성했는지 등을 물어보고 조사한 뒤 증거 채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비망록은 작성자인 김 전 수석이 숨져 증인 신문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검증 절차를 밟겠다는 게 특검의 설명이다.

반면 김기춘 전 실장의 변호인은 “원본을 복사하는 과정에 이의가 있어서 (증거 사용에) 부동의한 게 아니라 실제로 김 전 실장이 작성한 것인지, 그 내용이 믿을 만한 것인지 동의할 수 없다는 취지”라며 “감정이 필요할지 의문”이라고 맞받았다.

변호인의 주장에 특검은 “김 전 수석의 어머니를 증인으로 신청해야 하나”라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지켜보던 김 전 실장은 “비망록 마지막 페이지에 보면 김 전 수석이 심경을 기록한 부분이 있는데, 그 이후 어떤 경위로 나를 오해해서 불쾌한 감정을 가졌는지 몰라도 수첩만 보면 피고인(김기춘)을 원망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참고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특검은 “김영한 전 수석이 수첩을 썼다는 것을 인정하는 발언 같다”고 꼬집었고, 변호인은 “그렇게 시비를 걸면 끝이 없다”며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비망록은 김영한 전 수석이 2014년 6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수석비서관회의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에 청와대가 연루된 유력한 근거로 여겨진다. 특검은 비망록 내용이 김기춘 전 실장의 지시를 받아 적은 것이라고 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