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투자 손실 복구 프로그램’ 사기극 대기업 임원·방송인 두 번 울렸다

[단독] ‘투자 손실 복구 프로그램’ 사기극 대기업 임원·방송인 두 번 울렸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7-04-11 22:28
업데이트 2017-04-12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종 금융사기’ GNI 수사 확대

800여명 최소 500억원대 피해
실제 올린 수익 미끼로 확장 뒤
성철호 회장이 1대1 설득·유치
이른바 ‘금융 다단계’로 불리는 투자사기극(유사수신)으로 최소 500억원대 피해를 입힌 혐의로 구속된 GNI그룹 회장 성철호(60)씨의 사기 수법에 전문가라 할 경찰마저 혀를 내둘렀다. 투자금의 일부로 벤처기업의 지분을 확보해 투자자를 안심시켰고, 고액의 손실을 본 피해자에겐 VIP용 ‘투자 손실 복구 프로그램’이 있다며 재투자를 유도하는 등 파렴치한 이중 사기를 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성씨 등의 사기 수법에 대기업 임원, 전직 아나운서 등 전문직 종사자들도 넘어가 많게는 수억원을 날린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동부지검은 GNI 사기 사건 피해자 800여명으로부터 성씨 등 관련자 총 37명에 대한 고소장을 지난 6일 접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서울 송파경찰서는 “현재 성씨에 대해 자체 수사를 진행 중이고 추가 고소와 관련해서는 동부지검에서 관련 내용이 넘어오면 수사 확대 여부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앞서 인지수사를 통해 지난 2월 6일 성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유사수신 혐의 등으로 구속한 바 있다. 성씨의 아들과 내연녀 등 관련자들에 대한 추가 수사도 진행 중이다.

경찰에 따르면 성씨는 유사수신 등 비슷한 유형의 사기 전과만 32개로, 피해자들이 주장하는 사기 피해액은 500억원이 넘는다. 성씨는 자신이 저지른 이전의 유사수신 사기와 같이 본인을 주식 투자의 귀재로 설정했다. ‘GNI위너스’라는 법인을 설립하고 고수익을 보장한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하지만 그는 새로 유입되는 자금으로 피해자들에게 수익을 배당하는 소위 ‘돌려 막기’ 수법을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아침마다 투자 리포트를 배포했다. 투자자들에게 배당금도 지급하고 45억원가량을 투자해 벤처기업의 지분 20%를 실제 취득했다. 해당 벤처기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바이오 기술 업체로, 성씨는 이들의 기술을 본인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투자자들에게 소개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지분 투자는 사실이지만 기술 사용 계약은 사실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신뢰도가 높은 몇몇 투자자에게는 개별적으로 접근해 투자를 유도했다. ‘복구 프로그램’이라는 별도 투자 형태를 만들어 기존의 투자 손실을 메울 수 있게 추가 투자를 하도록 유도했다. 다른 투자 프로그램과 달리 성씨가 직접 투자자를 지목해 1대1 단독 상담이 이뤄졌고, 피해자들은 특별 대우에 고액의 투자금을 맡겼다. 대기업 임원 출신인 A씨도 초기에 단순 투자로 시작했다가 복구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결국 6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피해자대책위 관계자는 “자신이 사기를 당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투자자도 많아 설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투자 원금의 일부라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 중에 대기업 임원 등 사회적 지위가 있는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가 다수 있다는 점이 다른 사건과 다르다”며 “단순히 주식 투자만으로 속이던 방식에서 진화된 유사수신 사기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금융 투자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치밀한 수법에 노후 자금을 투자한 경우도 꽤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저금리 시대에 지나치게 높은 이익을 얻게 해 주겠다는 제안은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7-04-1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