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육상 옮겨지는 날, 진도 침몰해역서는 수중수색 시작

세월호 육상 옮겨지는 날, 진도 침몰해역서는 수중수색 시작

입력 2017-04-09 10:34
업데이트 2017-04-09 1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가 육지로 올려지는 날인 9일 침몰해역에서는 수중수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해양수산부 세월호 현장수습본부는 9일 정오께 침몰해역인 진도 앞바다에 설치된 유실방지 사각 펜스 구역에서 수중수색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세월호를 들어 올릴 때 미수습자가 유실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선체가 침몰했던 해저 주변에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의 철제펜스를 설치했다.

잠수사들은 철제펜스 내부 3만2천㎡를 40개 구역으로 나눠 수색한다.

수중수색은 2개월간 4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우선 잠수사들이 40개 일반 구역에서 종 방향으로 진행하며 유실물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고 해저 면을 손으로 더듬어 가며 수색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선미 부분 2개 특별구역을 종·횡 방향으로 교차 수색하고 3단계에서는 소나(수중음파탐지기)를 투입해 음파가 탐지되면 잠수사가 투입된다.

해수부는 마지막으로 펜스 테두리 1.5m 반경을 추가로 수색할 예정이다.

수색 과정에서 유해 등이 발견되면 신원 확인팀이 곧바로 작업선 센첸하오에 올라타 확인 절차에 들어간다.

현재 잠수사 31명이 승선해 투입 대기 중이다.

2인 1조씩 교대로 투입되며 작업 과정은 헤드캠으로 촬영된다.

수중 작업 특성상 조류 등 해상 기상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해수부는 이에 앞서 수색을 가로막는 지장물을 제거했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의관이 센첸하오에서 잠수사를 대상으로 인체 골격 등에 관해 교육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