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검사, 20~30대는 꼭 받을 필요 없다”

“대장내시경 검사, 20~30대는 꼭 받을 필요 없다”

입력 2017-04-07 09:17
업데이트 2017-04-07 09: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장종양연구회 “용종 발견율 크게 낮아 효용성 인정 어려워”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이 늘면서 연령대별로 받아야 하는 검진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항목이 늘어날수록 검사비용은 비싸지기 마련이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꼭 받지 않아도 될 검사까지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대장암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40대 미만 연령층도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대장내시경 검사만큼은 20~30대 때 반드시 받을 필요가 없다고 대한장종양연구회가 7일 밝혔다.

대한장종양연구회는 2006년 6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의료기관 14곳에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55세 미만 9천765명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회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자 중 50~54세는 2천257명(23.1%)이었고, 50세 미만은 7천508명(76.9%)이었다.

모집단 규모를 통계적으로 보정해 용종 발견율을 분석한 결과, 50~54세 그룹은 36.1%였고, 50세 미만 그룹은 25.6%였다.

특히 나이가 적을수록 용종 발견율은 더 낮아졌는데 45~49세 그룹(3천451명)은 29%, 40~44세 그룹(2천773명)은 24.2%이었다.

연구회는 20~39세 그룹(1천284명)의 경우 모집단이 많지 않아 5세 단위로 나누지 않고 한꺼번에 용종 발견율을 분석했는데 19.2%로 가장 낮았다.

20~39세 그룹의 용종 발견율이 50~54세 그룹과 비교했을 때 거의 절반 수준에 그쳤기 때문에 대장내시경 검사의 효용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연구회는 분석했다.

이번 연구의 총책임을 맡은 차재명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외국의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는 50세 이상만 받는 게 일반적”이라며 “우리나라는 20대와 30대도 대장내시경 검사를 희망하는 사람이 점차 늘고 있는데 꼭 추천하고 싶진 않다”고 말했다.

차 교수는 “다만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과 같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이라면 40대 중반부터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위장병·간장학’(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