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임금상승률 3.5% 전망… 작년보다 0.3%P 낮아

올 임금상승률 3.5% 전망… 작년보다 0.3%P 낮아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4-06 22:54
업데이트 2017-04-06 2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동硏, 성장률은 2.5% 예측

올해 임금상승률이 지난해보다 0.3% 포인트 하락한 3.5%에 그칠 전망이다. 올해 5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 평균 월급은 354만 5000원으로 지난해 342만 5000원보다 12만원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은 6일 ‘2016년 임금 동향과 2017년 임금 전망’ 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세계 경제여건이 다소 개선되더라도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지난해보다 소폭 하락한 2.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임금상승률도 지난해 3.8%에서 0.3%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노동연구원은 1인당 노동생산성지수 증가율이 2010년 이후 일정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고 1인당 실질임금상승률도 큰 변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특히 소득여건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는 데다 가계부채 부담이 실질구매력 상승을 억제하면서 민간소비는 둔화되고 내수기여도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가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고 건설투자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보여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올해 임금이 상대적으로 오르지 않을 가능성도 커졌다. 지난해는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과 ‘부동산·임대업’의 임금상승률이 각각 8.1%와 5.6%로 전 산업 임금상승률을 견인했다. 건설업도 지난해 특별급여증가율이 17.2%에 이르렀지만 올해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임금상승률은 최저임금 인상수준 등 사회전반적인 분위기에도 영향을 받는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은 7.3%로 전체 임금인상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올해 공무원 임금상승률도 지난해보다 0.5% 포인트 높아진 3.5%로 전체 임금상승률에 다소 영향을 미쳤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4-07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