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 화물선 수색범위 확대…선원가족 “정보 부실” 항의

침몰 화물선 수색범위 확대…선원가족 “정보 부실” 항의

입력 2017-04-04 13:44
업데이트 2017-04-04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있음.>>“대체복무 선원만 2명, 국방부는 뭐하나”

남대서양에서 침몰한 초대형 광석운반선 ‘스텔라 데이지호’의 수색작업이 나흘째 진행되는 가운데 별다른 진전이 없자 현지 수색팀이 수색구조 범위를 넓히고 있다.

4일 오전 선사인 ‘폴라리스 쉬핑’ 부산 해사본부에서 진행된 선원 가족 브리핑에서 해수부 관계자는 “최초 조난신호 발생지점에서 북쪽으로 43.4㎞ 떨어진 가로 41.8㎞, 세로 35.4㎞의 해상으로 범위를 확대해 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조류의 흐름과 조난신호(EPIRB)에 따라 수색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최초 조난신호 발생지점에서 북동쪽으로 77.2㎞ 떨어진 해상에서 4일 새벽 표류하던 구명벌(life raft) 2세트를 수거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수거한 구명벌은 기존에 발견됐지만, 선원이 타고 있지 않은 채 표류하던 구명벌”이라고 설명했다.

수색팀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구명벌 1척을 집중적으로 찾고 있다.

폴라리스 쉬핑과 해수부 측은 “현지 해난구조센터(MRCC)에 추가로 수색구역 확대를 요청해 승인받은 상태라 곧 범위를 넓힌 3차 수색구역(가로 74㎞, 세로 55.5㎞)에 상선 4척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전 3시 51분께 ‘폴라리스 쉬핑’ 상선인 ‘스텔라 코스모’호가 수색팀에 합류해 ‘스피타(SPITHA)호’와 임무 교대해 현재 4척이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고 선사 측은 말했다.

폴라리스 쉬핑이 상하이 샐비지에 의뢰해 현지로 운항 중인 구조구난선박 ‘DE ZHOU’호는 7일 오전 7시께 수색구역에 도착하고, 5일 오전 3차 수색에 나설 예정이던 브라질 공군 수송기가 문제가 생겨 사고해역으로 가지 못하게 돼 대체 항공기 투입이 검토되고 있다고 선사 측은 설명했다.

나흘째 애타게 구조 소식을 기다리던 선원 가족들은 선사와 해수부 관계자에게 “배가 두 동강 났다는 현지 언론보다 못한 정보를 가지고 무슨 브리핑을 한다는 말이냐”고 항의하며 “너무 멀어 갈 수도 없고 정부만 믿고 있는데 외교부, 해수부 등이 제대로 된 구조 진행 상황을 전해달라”고 말했다.

선원 가족들은 특히 “국방 의무인 대체복무를 하다가 사고를 당한 선원이 2명이나 있는데도 국방부는 사고 대책본부에도 빠진 채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에 태어난 것이 죄”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