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소비·가격↓, 수입량↑…벼논 급격히 줄고 있다

쌀소비·가격↓, 수입량↑…벼논 급격히 줄고 있다

입력 2017-04-04 10:49
업데이트 2017-04-04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10년 경기도 논 22% 감소…생산량도 17% 줄어

국민 쌀소비 감소와 수입쌀 증가, 이로 인한 쌀값 하락이 이어지면서 벼 재배면적이 급격히 줄고 있다.

4일 경기도농업기술원의 분석 자료를 보면 전국의 벼 재배면적은 2006년 95만5천여㏊에서 지난해 77만9천여㏊로 10년 사이 18.4%(17만6천여㏊) 감소했다.

전국 연간 쌀 생산량도 같은 기간 468만여t에서 419만7천여t으로 10.3%(48만3천여t) 줄었다.

전남과 충남, 전북, 경북에 이어 전국에서 5번째로 넓은 벼 재배면적과 쌀 생산량을 기록 중인 경기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감소 폭은 이보다 훨씬 컸다.

도내 벼 재배면적은 2006년 10만3천여㏊에서 2016년 8만1천여㏊로 10년 새 무려 21.8%나 줄었고, 쌀 생산량 역시 이 기간 49만7천여t에서 41만4천여t으로 16.7%나 감소했다.

쌀 소비량이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전국은 물론 도내 벼 재배면적과 쌀 생산량은 앞으로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경기도는 쌀값 안정 등을 위해 올해도 벼 재배면적을 지난해보다 5%(4천㏊)가량 줄여 전체 쌀 생산량을 5% 정도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이 도내 벼 재배면적이 계속 감소하는 것은 쌀 소비량이 갈수록 감소하면서 쌀값이 하락하는 데다가 수입쌀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 119.6㎏였던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2000년 93.6㎏으로 줄었고, 2015년에는 62.9㎏까지 떨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7양곡연도(2016년 11월~2017년 10월) 기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을 59.6㎏으로 전망하면서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2027년 1인당 쌀 소비량은 47.5㎏까지 추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우리나라 쌀 수입량은 2006년 25만5천t에서 2016년 31만3천t으로 늘었다.

쌀 수출도 크게 늘고 있으나 전체 양은 수입량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쌀 수출 물량은 2006년 9톤에서 2016년 2천53톤으로 증가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당분간 경기도는 물론 전국 벼 재배면적은 감소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기도는 이에 맞춰 논에 밭작물 등 대체작물을 재배하도록 점진적으로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