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⅓ “좋은 부모 되기 최대 걸림돌은 경제력”

한국인 ⅓ “좋은 부모 되기 최대 걸림돌은 경제력”

입력 2017-04-04 10:20
업데이트 2017-04-04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육아정책연구소 1천명 대상 조사…“좋은 부모 가장 필요한 덕목도 경제력”

우리나라 국민 셋 중 한 명은 좋은 부모가 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경제력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마디로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돈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이야기다.

4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인의 부모됨 인식과 자녀양육관 연구’ 보고서(연구자 문무경 조숙인 김정민)에 따르면 2016년 전국 20∼50대 성인남녀 1천13명(미혼자 259명, 자녀 없는 기혼자 57명 포함)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바람직한 부모가 되는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요소로 33.1%가 본인의 ‘경제력’을 꼽았다.

이어 ‘세대 차이’(16.5%), ‘권위적인 태도’(15.5%), ‘직장생활 등으로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 부족’(10.2%), ‘주변의 간섭’(9.7%), ‘인내력 부족’(7.0%) 등의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중·고교생 자녀를 둬 사교육비 부담에 시달리는 40∼50대, 지역별로는 대도시 거주자 사이에서 자신의 경제적 어려움을 좋은 부모가 되는데 최대 걸림돌로 여긴다는 응답이 많았다.

조사 대상자들은 또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과 부모로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으로도 ‘경제력’을 가장 많이 꼽았다.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가장 필요한 덕목으로 가장 많은 21.8%가 ‘경제력’을 지목했으며 ‘자녀와의 소통’(18.8%), ‘인내심’(18.7%), ‘바른 인성’(11.5%), ‘자녀에 대한 관심과 사랑’(8.1%) 등이 뒤를 이었다.

자신의 부모 역할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49.4%)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모자라지도 않는다’고 했으며, 26.7%는 ‘충분하다’, 23.9%는 ‘부족하다’고 대답했다.

자신의 부모 역할이 불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에 한정해서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점을 꼽도록 한 결과, 46.1%가 ‘경제적 지원’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정서적 지지’(18.6%), ‘학업지도’(12.6%), ‘양육지식’(11.4%), ‘생활태도·습관 지도’(9.6%) 등을 들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