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 수색한 구역서 세월호 실종자 뒤늦게 발견

13번 수색한 구역서 세월호 실종자 뒤늦게 발견

입력 2014-10-29 00:00
업데이트 2014-10-29 1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범대본 “논리적으로 설명 어려운 정황” 해명

범정부사고대책본부가 십여차례 반복수색한 세월호 수색구역에서 실종자 시신이 발견된 데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놨다.

지난 7월 18일 이후 102일 만인 28일 선체에서 발견된 세월호 실종자 시신을 인양하지 못한 29일 오전 전남 진도군 범정부사고대책본부 상황실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실종자들의 사진이 걸려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이날 회의에서 반복수색 구역에서 뒤늦게 실종자가 발견된 경위 등을 질의했다.  연합뉴스
지난 7월 18일 이후 102일 만인 28일 선체에서 발견된 세월호 실종자 시신을 인양하지 못한 29일 오전 전남 진도군 범정부사고대책본부 상황실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실종자들의 사진이 걸려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이날 회의에서 반복수색 구역에서 뒤늦게 실종자가 발견된 경위 등을 질의했다.
연합뉴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29일 “스타킹을 착용한 여성 추정 시신이 발견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가 강한 조류에 의해 빠져나와 구명동의의 부력으로 천장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실종자가 발견된 4층 중앙 여자화장실을 그동안 13차례 수색을 진행했으나 시신을 발견하지 못하고 14번째 수색 만에 28일 오후 발견했다.

이날 오전 범정부사고대책본부 회의에서는 실종자 가족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실종자 가족 중 일부는 “13차례나 수색한 구역이 얼마나 크고 어느 정도 붕괴가 진행됐기에 뒤늦게 시신이 발견됐느냐”며 “질책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이해가 안 돼 답을 듣고 싶다”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범대본 관계자는 “뒤늦게 발견돼 저희도 충격적이다”,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지만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가 있는 것 같다”고 말하며 당혹해했다.

범대본은 “시신의 부패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선체 안에 있어 생각보다 훼손이 심하지 않았던 것 같다”며 “(구명동의 등의 영향으로) 위로 떠올라 잠수사들이 발견하지 못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한 실종자 가족은 “수색 구역 내부 영상 촬영, 전자코 등 검증 절차가 이뤄진 곳에서 시신이 발견돼 그동안 촬영 검증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며 “수색을 완료했다고 범대본이 설명한 구역에서 추가로 시신이 수습해 신뢰가 무너졌다”고 항의했다.

이에 따라 범대본은 실제 현장 잠수수색 중인 민·관·군 합동구조팀 관계자를 데려와 가족들에게 반복수색 구역에서 뒤늦게 실종자를 발견한 경위를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범대본 회의에서 가족들은 해양수산부 장관이나 해경청장의 진도현장 복귀, 11월 중 수색계획 마련 등을 요구했다.

범대본은 “장관과 해경청장은 국회 본회의 일정 참석 등으로 당장 복귀는 어렵다”며 “11월 수색계획은 보고절차를 밟는 등 현재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