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경주리조트 사고 계기 다중이용시설 긴급점검

부산시, 경주리조트 사고 계기 다중이용시설 긴급점검

입력 2014-02-24 00:00
업데이트 2014-02-24 1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상문 폐쇄 등 40개 시설 적발…위험요인 해소때까지 추적관리

부산시는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를 계기로 부산지역 6천565곳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했다고 24일 밝혔다.

부산시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이뤄진 긴급 안전점검에서 비상문 폐쇄 등 40개 시설의 57가지 위험요인을 적발, 조속한 조치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적발된 위험요인이 해소될 때까지 지속적인 추적관리를 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부산지역에는 A급(현재는 문제점이 없지만 정기점검이 필요한 상태) 1천560곳, B급(가벼운 손상으로 간단한 보수정비가 필요한 상태) 4천303곳, C급(조속한 보강 또는 일부시설이 대체가 필요한 상태) 493곳, D·E급(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거나 사용 또는 거주 상의 제한을 요할 정도로 재난발생 위험이 큰 시설·지역) 208곳 등 모두 6천56곳의 다중이용시설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