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나리조트 유사건물 2천800여동 ‘관리 사각지대’

마우나리조트 유사건물 2천800여동 ‘관리 사각지대’

입력 2014-02-24 00:00
업데이트 2014-02-24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부, PEB 방식 건축물 안전관리 강화 추진

경주 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사고로 115명의 피해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어진 건물 중 2천800여개가 안전점검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은 24일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사고가 발생한 체육관은 샌드위치 패널 공법(PEB공법)으로 건축됐으며, 전체 면적은 1천205㎡였다. 문제는 현행 건축법상 연면적 5천㎡미만의 건물은 준공 후 10년간 정부나 지자체에서 안전점검을 받을 의무가 없다는 것”이라며 “결국 해당 체육관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던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 체육관과 마찬가지로 PEB공법을 사용한 면적 5천㎡ 미만의 건물은 전국에 모두 2천827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별로는 종교시설이 1천381동으로 가장 많았고 판매시설 445동, 숙박시설 400동, 문화 및 집회시설 368동, 의료시설 192동, 운수시설 41동 순이었다.

이 의원은 “규모가 작더라도 다중이용시설은 엄중히 관리해야 한다. 전국 PEB공법 건물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며 “아울러 폭설 탓에 사고가 발생한 만큼 건물에 대한 적설하중 기준을 재검토하는 등 재발 방지책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업무보고에서 PEB건축물의 안전 관리 강화 대책을 보고했다.

우선 PEB 건축물의 경우 건축위원회에서 설계의 적정성을 심의토록 했으며, 다중이용시설에는 이 공법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했다.

적설하중 산정시에도 젖은 눈인 ‘습설’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최근 기후변화 등도 종합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기존 건축물의 경우에도 규모가 작더라도 사고 발생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등의 대책도 내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