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 지역환원 좌절…자본조달 한계 극복 못해

경남은행 지역환원 좌절…자본조달 한계 극복 못해

입력 2013-12-31 00:00
업데이트 2013-12-31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준비 부족에다 사모펀드 불신감까지 겹쳐

경남은행 지역환원의 꿈이 결국 좌절됐다.

경남은행을 지역민의 품으로 가져오고자 했던 경남·울산지역 상공인 등의 간절함은 BS금융지주(부산은행)의 높은 인수가를 극복하지 못했다.

금융권에서는 양측이 제시한 인수금액 차이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너무 컸다는 게 패인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인수전 본입찰 뚜껑을 열어보니 BS금융이 경은사랑 컨소시엄보다 무려 3천억원가량 높은 인수가격을 제시했다.

지역환원 명분만으로는 현실의 벽을 넘기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정부가 지난 6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할 때부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때까지 고수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 최고가 매각원칙이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에서도 발표 직전까지 회의를 열고 막판까지 지역환원에 대한 경남 지역 정서를 고려해 비가격적인 요소를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워낙 가격 차이가 커 참고 수준에 그쳤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공자위가 경남은행 차순위 협상대상자로 기업은행을 선정한 점에서도 이런 점을 알 수 있다.

기업은행은 경은사랑 컨소시엄보다 좀 더 높은 인수가격을 써냈다.

BS금융이 인수자본 조달을 위한 유상증자 계획을 밝히면서 이사회 결의서를 첨부하지 않았지만 공자위는 워낙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한 BS금융 측의 자본 조달 계획을 수용해 손을 들어준 것으로 알려졌다.

BS금융은 애초부터 경은사랑 컨소시엄의 지역환원 명분을 제압하기 위해 금융당국 구미에 맞는 ‘최고가 매각’ 원칙에 맞춰 파격적인 높은 가격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경은사랑 컨소시엄은 경남은행의 미래 가치를 따지지 않고 지나치게 계산된 적정가격에 집착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은사랑 컨소시엄의 인수전 준비 기간도 너무 짧았다.

BS금융이 경남은행 인수를 위해 오랫동안 정치권은 물론 금융당국과 접촉해온 것에 비해 경은사랑 컨소시엄은 경남·울산지역 상공인을 중심으로 사실상 급조됐다.

이런 경은사랑 컨소시엄에 3천억원의 지역 상공자본이 몰리고 1조원에 가까운 인수 자본을 모아 본입찰에 참여한 것이 기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경남은행 인수추진위가 자본 마련을 위해 끌어온 사모펀드인 MBK 파트너스의 법적인 자격성 논란 등을 깨끗하게 불식하지 못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았다.

애초 경은사랑 컨소시엄에 참여했던 사모펀드인 트루벤인베스트먼트와 자베스가 개정 은행법에 따라 지방은행 주식을 인수할 수 없게 되자 본입찰을 한달도 남겨두지 않은 상태에서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로 황급히 바꿨다.

국내 최대 토종 사모펀드를 영입하고 준비를 서둘렀지만 체계적인 준비를 하기엔 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이 인수전에 나선 실무진의 반응이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을 반영하듯 지역 내 대기업은 이번 인수자본에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의 자격 논란이라는 꼬리표는 본입찰 이후에도 달고 있었다.

경은사랑 컨소시엄에 참여한 국내 최대 법무법인인 김앤장을 비롯해 복수의 법무법인을 통해 ‘법적인 문제가 없는 구조’라고 강조했지만 금융당국의 우려를 말끔하게 씻어내지 못했다.

특히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 26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MBK파트너스에 자격성 논란을 여전히 제기했다.

즉 사모펀드에 대한 막연한 불신감을 털어내지 못한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외환은행을 인수했던 사모펀드인 미국계 론스타의 ‘먹튀’ 논란 등과 계속 비교됐다.

실제로 BS금융은 경은사랑 컨소시엄의 인수구조 문제를 계속 제기하면서 금융자본의 안정성을 설득하는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