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를 둘러싸고 한ㆍ일간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경북 포항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들이 위안부 문제를 사죄하고 새로운 양국관계를 조성하자는 행사를 마련해 눈길을 끌었다.
’한일역사를 극복하고 우호를 추진하는 모임’ 포항지회원들은 5일 오전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모임을 갖고 일본의 종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머리숙여 사죄했다.
이 단체는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후 포항, 경주 등에서 살고 있는 일본인 여성들로 구성돼 있으며 현재 회원수는 40여명이다.
이들은 “한국에 살면서 과거 제국주의 시대의 일본이 한국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준 역사적인 진실을 분명히 알게 됐다”며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먼 이국땅에 끌려갈 수 밖에 없었던 그 분들에게 같은 여성으로서 진심으로 사죄 드린다”고 말했다.
또 “그 분들의 참담한 고통을 위로해 줄 수 없지만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이라는 우리의 양심의 목소리를 차마 무시할 수 없었다”며 “작은 메아리가 양심적인 양국 국민의 마음을 움직여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지도자들의 마음까지 움직일 수 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의 불행했던 역사를 넘어 한국과 일본이 확고한 평화동맹을 맺어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전을 지키는 핵심이 되고 나아가 세계평화의 초석을 구축할 수 있는 역사적 사명을 완수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도 경북 동해안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들과 함께 위안부 문제 사죄와 한ㆍ일간 우호관계 회복을 위한 운동을 계속 벌여 나가기로 했다.
간사인 안자이 데루꼬씨는 “한국으로 시집 온 사람으로서 자녀들이 이 곳에서 긍지를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한ㆍ일간 관계가 갈등과 대립이 아닌 평화와 우호관계로 다시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일역사를 극복하고 우호를 추진하는 모임’ 포항지회원들은 5일 오전 포항시청 앞 광장에서 모임을 갖고 일본의 종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머리숙여 사죄했다.
이 단체는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후 포항, 경주 등에서 살고 있는 일본인 여성들로 구성돼 있으며 현재 회원수는 40여명이다.
이들은 “한국에 살면서 과거 제국주의 시대의 일본이 한국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준 역사적인 진실을 분명히 알게 됐다”며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먼 이국땅에 끌려갈 수 밖에 없었던 그 분들에게 같은 여성으로서 진심으로 사죄 드린다”고 말했다.
또 “그 분들의 참담한 고통을 위로해 줄 수 없지만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이라는 우리의 양심의 목소리를 차마 무시할 수 없었다”며 “작은 메아리가 양심적인 양국 국민의 마음을 움직여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지도자들의 마음까지 움직일 수 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의 불행했던 역사를 넘어 한국과 일본이 확고한 평화동맹을 맺어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전을 지키는 핵심이 되고 나아가 세계평화의 초석을 구축할 수 있는 역사적 사명을 완수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도 경북 동해안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들과 함께 위안부 문제 사죄와 한ㆍ일간 우호관계 회복을 위한 운동을 계속 벌여 나가기로 했다.
간사인 안자이 데루꼬씨는 “한국으로 시집 온 사람으로서 자녀들이 이 곳에서 긍지를 갖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한ㆍ일간 관계가 갈등과 대립이 아닌 평화와 우호관계로 다시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