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수면부족, 1인 연간 1500만원 손실

직장인 수면부족, 1인 연간 1500만원 손실

입력 2010-08-08 00:00
업데이트 2010-08-08 1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성인 직장인의 평균 수면시간이 6.5시간으로 절대 부족한데다 13%는 졸음 때문에 사고까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수면의학회(이사장 유범희)는 직장인 554명(평균나이 31.9세)을 대상으로 수면 실태조사를 한 결과,평균수면시간이 6시간36분으로 미국인(7.75시간)에 비해 1시간 이상 잠이 부족한 ‘만성적 수면부족’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조사대상 직장인의 19.5%는 수면에 상당히 불편감을 느꼈는데,잠자리에 누운 뒤 잠이 들기까지 평균 17분이 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졸림 때문에 1개월에 1~3회 이상 주간 활동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56%(310명)에 달했으며,업무를 끝까지 수행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41.3%(229명)나 됐다.

 또한,졸음으로 직업관련 사고나 교통사고 경험이 있는 사람은 12.6%(70명)로 집계됐다.

 학회는 이 같은 수면부족에 따른 근로시간 손실이 근로자 1인당 연간 711시간 31분(주 5일 기준 하루 평균 약 2시간40분)에 해당하며,비용손실액은 연평균 1천586만4천365원에 달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세부적으로는 조퇴나 지각 등으로 업무현장을 이탈한 경우의 시간 손실이 1인당 연간 7.42시간(비용 16만9천71원),근무 중 집중력 저하와 업무속도 저하 등에 의한 손실이 1인당 연간 703시간49분(비용 1천565만9천293원)에 달하는 것으로 각각 추산됐다.

 이밖에 수면 중 무호흡 증상을 보이거나 코골이를 호소하는 경우는 10%에 달했으며,주1회 이상 잠드는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직장인은 28.8%였다.

 학회 유범희 이사장(삼성서울병원 정신과)은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에서도 수면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건강 문제에 그치는 게 아니라,기업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임이 밝혀졌다”며 “이제 우리도 선진국처럼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사회적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