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박물관장이 한국인 첫 新星 발견

곤충박물관장이 한국인 첫 新星 발견

입력 2010-05-26 00:00
수정 2010-05-26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마추어 천문가인 강원 영월곤충박물관 이대암(55) 관장이 한국인 최초로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화제다.

이 관장은 지난 7일 오전3시29분 영월 태화산 자신의 개인천문대에서 93mm 렌즈로 페가수스자리에서 어두운 10.8 등급의 별을 발견해 촬영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별을 발견한 곳은 ‘적경 21시 38분 6.66초, 적위 26도 19분 57.1초’의 밝기 15등급 이상 지점으로 천체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곳이다.

이 관장은 확인을 위해 다음날인 8일 오전2시8분 400㎜ 렌즈로 이 별이 8.4등급까지 밝아진 사실을 다시 촬영해 신성 발견 사실을 국제천문연맹(IAU)에 보고했다.

이후 국제천문연맹은 세계 천문대에 알려 검증과정을 거친 뒤 이 천체가 연성계(連星系)내 백색왜성(白色矮星·white dwarf)과 연결된 가스 원반(disc)이 갑자기 폭발하면서 밝아지는 왜신성(矮新星·dwarf variable)의 일종이라고 최근 전해왔다. 특히 8등급 정도로 거대한 증폭을 하는 희귀한 타입(WZ Sge star)의 단주기형 폭발변광성(cataclysmic variable)으로 밝혀졌다. 폭발변광성은 어두운 천체가 순간적인 폭발로 빛과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로, 질량이 작은 표면폭발로 수 등급의 증광현상을 보이는 왜신성과 별 자체 내부폭발로 20등급 이상까지 밝아지는 초신성으로 나뉜다.

이 천체는 ‘VSX J213806.5+261957’로 명명됐으며 한국인이 신성을 발견한 것은 이 관장이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 관장은 지난해 4월 한국인 최초로 혜성 ‘C/2009 F6’을 발견했으며 이 혜성은 이 관장 성을 따 ‘이-스완(Yi-SWAN)’이라는 이름으로 국제천문연맹에 정식 등록됐다.

영월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10-05-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