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대선 또다른 관전포인트…‘3당 체제’ 바뀌나

충북 대선 또다른 관전포인트…‘3당 체제’ 바뀌나

입력 2017-04-17 15:59
업데이트 2017-04-17 1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의 당 세 불리기…1년 앞 지방선거 겨냥 ‘이합집산’ 해석도

19대 대통령선거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 당 안철수 후보 간 양강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힘의 논리만 놓고 본다면 충북은 여전히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양당 체제’다.

국회의원은 물론이고, 도의회와 시·군의회, 시장·군수 등 모든 선출직에 무소속은 있었지만, 국민의 당을 비롯한 ‘제3당’ 소속은 한 명도 없었다.

이런 충북의 정치 지형이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국민의 당이 안 후보의 지지율 고공행진에 힘입어 적극적인 영입에 나서 몸집을 불리면서 ‘충북의 제3당’으로 발돋움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민의 당은 지난달 30일 무소속 조동주 옥천군의원이 입당, 지방의회 교두보를 마련한 데 이어 지난 10일에는 무소속 안효일 옥천군의원과 윤해명 증평군의원을 영입했다.

16일에는 민주당 임헌경 도의원이 탈당, 국민의 당에 입당했다.

임 의원은 문재인 후보 측근인 노영민 민주당 선대본부 조직본부장과 도종환 충북도당위원장이 총선에서 내리 네 번 승리한 청주 흥덕 지역구 도의원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2014년 새누리당 충북지사 후보 경선에 나섰던 서규용 전 농림수산식품부장관, 19대와 20대 총선에서 각각 새누리당,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김준환 변호사도 최근 국민의 당에 입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 당 선대위에도 구 여권과 야권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2012년 민주통합당 충북도당 상임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낸 남기창 국민주권개혁회의 충북대표, 새천년민주당 충북도당위원장을 지낸 장한량씨, 새정치민주연합 비례대표로 도의원을 지낸 정지숙씨 등이 대표적인 야권 인사다.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청주 청원선거구에 출마한 권태호 전 춘천지검장 등 구 여권 인사들도 국민의 당에 몸을 실었다.

국민의 당은 현역 지방의원과 자치단체장들도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 당의 한 관계자는 “현역 군의원 10여명과 자치단체장 1∼2명의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정가에서는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양당 중심의 충북 정치 지형이 3당이 정립하는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국민의 당에 입당한 일부 인사는 소속했던 정당에서 정치적 영향력이 떨어져 내년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말을 갈아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역 정가의 인사들은 “국민의 당이나 안 후보와 다른 정치적 색채인데도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 입당한 인사가 적지 않다”며 “대선이 끝나고 지방선거 국면으로 접어들면 또다시 이합집산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