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도 사드 배치 지연 이해했다”

“美도 사드 배치 지연 이해했다”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업데이트 2017-06-08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관계자 “절차문제 충분히 설명… 백악관도 나라별 환경평가 룰 인정”

“문재인 정부가 ‘사드 배치의 원칙을 깨지 않지만 시기 조절은 필요하다’는 뜻을 미국에 충분히 전달했고, 미국 백악관이 이를 이해했다”고 워싱턴의 한 주요 외교 관계자가 7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드 배치 관련 논란은 한·미 간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문제, 즉 배치의 절차적 문제라고 홍석현 대통령 특사와 임성남 외교부 차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이 트럼프 행정부에 충분히 설명했다”면서 “이에 백악관 외교·안보라인들도 ‘환경영향평가는 각 나라의 절차에 따르는 것’이라며 사드 배치 지연을 받아들인다는 입장”이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핵심 인사들의 방문이 이어지면서 미 행정부나 의회가 가지고 있던 ‘우려’가 일정 부분 해소됐다”면서 “나머지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과 한·미 동맹의 연속성 등으로 서서히 풀어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 싱크탱크 관계자들과 현지 언론들은 ‘우려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워싱턴의 한 싱크탱크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가 사드 배치 과정 등의 미흡한 점을 재검토할 수 있지만, 재검토가 배치 자체를 뒤집는 노력이 된다면 이는 70년 한·미 동맹의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이는 날로 증가하는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한국과 주한미군, 더 나아가서는 미국을 위험에 빠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뉴질랜드를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이날 빌 잉글리시 뉴질랜드 총리와 면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어떤 형태라도 관계를 맺고 있거나 경제교류를 하는 모든 국가들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의 전략과 진로를 재고하도록 압박하는 데 동참해야 한다”며 최대 ‘압박과 관여’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대북 정책을 거듭 강조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08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