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美 B-1B 최북단 무력시위 “긴밀한 한미공조로 움직인 것”

靑, 美 B-1B 최북단 무력시위 “긴밀한 한미공조로 움직인 것”

입력 2017-09-24 10:13
업데이트 2017-09-24 1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전 협의한 듯…“최고 압박·제재로 北 대화로 나오게 하려는 것”

청와대는 24일 미국의 전략 폭격기 B-1B 랜서가 휴전선 최북단인 북한 동해 국제공역 비행으로 무력시위를 한 것과 관련,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움직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B-1B는 전날 밤부터 미국령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발진해 일본 오키나와 미군 기지에서 출격한 F-15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무력시위를 벌였고, 미국 국방부는 이날 이를 공식 발표했다.

미 국방부는 “21세기 들어 북한 해상으로 날아간 미군의 전투기와 폭격기를 통틀어 휴전선 최북쪽으로의 비행”이라며 “어떤 위협도 무찌를 수 있는 많은 군사적 옵션을 갖고 있다는 미국의 결의와 명확한 메시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전략자산 운용과 관련해 한미 간 긴밀한 협의와 공조 하에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우리 영해가 아닌 공해를 지나가는 것이어서 연합자산 운용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이번 무력시위에 비록 한국의 공군력이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한미 간 사전에 충분한 협의가 이뤄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미 양국은 지난 18일 B-1B 2대와 주일미군에 배치된 F-35B 스텔스 전투기 4대가 우리 공군 F-15K 4대와 함께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연합훈련을 한 바 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미 전략자산 전개는 북한 핵·미사일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책 중 하나”라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전략자산의 한반도 순환배치 확대 합의의 연장선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제사회과 최고의 압박·제재를 통해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게 해야 한다는 기조의 일환”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