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6차핵실험] 1년만의 핵실험…김정은 체제 출범후에만 4차례

[북 6차핵실험] 1년만의 핵실험…김정은 체제 출범후에만 4차례

입력 2017-09-03 17:01
업데이트 2017-09-03 17: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차 핵실험 규모 3.9→6차 핵실험 5.7 증가…6차례 핵실험 통해 폭발력 증대

북한은 지난 2006년 10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첫 핵실험을 감행한 이후 3일까지 총 6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의 파괴력을 급격히 키워왔다.

2006년 10월 9일 풍계리 핵실험장 동쪽(1번) 갱도에서 이뤄진 북한의 1차 핵실험은 규모 3.9로, 폭발 위력은 1㏏(㏏·TNT 폭약 1천t의 폭발력)으로 추정됐다.

이어 2009년 5월 25일 2차 핵실험부터는 모두 풍계리 북쪽(2번) 갱도 쪽에서 실험이 이뤄졌다. 2차 핵실험은 규모 4.5로, 2∼3㏏ 내지 3∼4㏏의 폭발위력을 보인 것으로 국내외 기관들은 평가했다.

1, 2차 핵실험에 사용된 핵물질은 플루토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첫 핵실험인 3차 핵실험은 2013년 2월 12일 북쪽 갱도에서 단행됐다. 3차 핵실험은 규모 4.9, 폭발 위력 6∼7㏏로 평가됐다.

당시 북한은 핵실험 직후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다종화된 우리 핵 억제력의 우수한 성능이 물리적으로 과시됐다”고 밝혀 플루토늄보다 생산 과정의 은밀성이 높은 고농축우라늄(HEU)으로 핵실험을 했음을 시사했다.

이어 북한은 2016년 1월 6일 2·3차 핵실험 장소에서 400m가량 떨어진 북쪽 갱도에서 4차 핵실험을 단행한 뒤 ‘주체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에서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4차 핵실험의 규모는 4.8로, 폭발 위력이 3차 핵실험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수소탄 실험치고는 낮은 폭발력 때문에 우리 군과 정부 당국은 수소폭탄의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북한은 통상 3∼4년 간격으로 핵실험을 하던 패턴을 깨고, 8개월 만인 같은 해 9월 9일 북쪽 갱도에서 5차 핵실험에 나섰다. 5차 핵실험의 규모는 5.04, 위력은 10㏏로 평가됐다.

‘대륙간탄도로켓(ICBM) 장착용 수소탄 실험’으로 발표된 이번 6차 핵실험의 경우 규모가 5.7로 측정된 것으로 볼 때 에너지의 위력은 4차의 11.8배, 5차의 5∼6배에 이를 것이라고 기상청은 추정했다.

이번 핵실험은 5차 핵실험 장소에서 북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핵실험은 1년 전 5차 핵실험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정권수립 69주년 기념일인 9월 9일(9·9절)을 엿새 앞두고 이뤄졌다.

북한은 체제결속 효과 극대화를 위해 각종 기념일을 앞두고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도발에 나선 뒤 이를 대대적으로 경축하는 패턴을 보여왔다.

1차 핵실험은 노동당 창건일(10월 10일), 3차 핵실험은 김정일 생일(광명성절·2월 16일)을 앞두고 이뤄졌으며 4차 핵실험도 김정은의 생일인 1월 8일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