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외·북한 파트 요직 실전형 민간 전문가 첫 내정

국정원 해외·북한 파트 요직 실전형 민간 전문가 첫 내정

입력 2017-06-26 22:46
업데이트 2017-06-2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외정보실장에 김성배…북한정세분석실장 장용석

NSC 근무 등 전문지식 갖춰
북한·통일 분야 ‘이종석 라인’
‘혁신’ 새바람 일으킬지 주목


국가정보원이 해외정보와 북한정보를 분석·판단하는 요직에 민간 전문가들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국정원 개혁 작업의 일환으로 국내 파트를 폐지한 데 이어 해외·북한 파트에도 혁신을 가져오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해외정보실장과 북한정세분석실장에 각각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박사를 내정한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해외·북한 파트의 실·국장을 모두 비국정원 출신이 맡는 건 설립 56년(1961년 국정원 전신인 중앙정보부 설립) 만에 처음이다.

정부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김 책임연구원과 장 박사는 외교안보 분야에서 전문지식과 실무 경험을 모두 갖춘 능력 있는 인사들로 평가받고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근무한 것은 물론 학계에도 오랜 기간 몸담고 있던 대표적인 ‘실전형’ 인물이란 설명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어느 때보다 국정원 내 해외·대북 파트에서 혁신의 새바람을 일으킬 적임자들로 보고 있다.

특히 장 박사는 이번 19대 대선 기간 서훈 국정원장과 함께 문재인 대선 캠프에서 외교안보 정책을 구상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등 커튼 뒤편에서 조력자로 활동했다.

아울러 두 사람은 북한·통일 분야에서 대표적인 ‘이종석 라인’으로 분류된다.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참여정부 시절 통일부 장관과 청와대 NSC 사무차장을 역임하는 등 노무현 대통령의 ‘대북포용정책’ 설계자로 활동했다.

앞서 서 원장은 국정원 차장 3자리(국내·해외·북한)를 모두 내부 출신으로 임명하는 등 새 정권 출범 때마다 외부에서 검사, 외교관, 경찰 출신들이 ‘낙하산’으로 내려오던 관행을 근절했다.

지난 1일에는 ‘1호 조치’로 국내정보 담당관(IO) 제도의 완전하고도 즉각적인 폐지를 지시했다. 이 때문에 국정원이 국내 파트 폐지에 따른 인적·물적자원을 해외·북한 분야로 전환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7-06-2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