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교육부총리 후보자와 김병준 전 부총리의 악연

김상곤 교육부총리 후보자와 김병준 전 부총리의 악연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7-06-18 18:01
업데이트 2017-06-18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野 “김병준 증인채택 검토” vs 與 “부적절”

이미지 확대
김상곤 후보자와 김병준 전 부총리
김상곤 후보자와 김병준 전 부총리 참여정부 시절인 2006년 교육부총리로 임명됐다 논문표절 의혹으로 13일 만에 낙마한 김병준(사진 오른쪽) 전 부총리가 김상곤(왼쪽)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에 나올지 주목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논문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 김병준 전 부총리가 증인으로 나올지 주목되고 있다.

김 전 부총리는 2006년 7월 교육부총리로 임명됐다가 논문표절 의혹으로 13일만에 낙마했는데 당시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으로 김 부총리의 사퇴를 요구한 사람이 현 김상곤 후보자다.

더불어민주당의 김현 대변인은 18일 기자들과의 점심자리에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논문표절 의혹과 관련, 김병준 전 교육부총리가 국회 인사청문회 증인으로 참석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김 전 부총리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에서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됐던 사람으로, 국민에 의해 박 전 대통령과 함께 탄핵됐다”면서 “청문회에 나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1992년 서울대에서 받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에 대해 민간단체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는 김 후보자의 박사 논문이 국내외 9개 문헌에서 44곳을 정확한 출처없이 인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상태다.

김 대변인은 김 전 부총리가 과거 부총리직을 사퇴했던 것을 지적하면서 “본인이 낙마한 것도 억울했고 그것 때문에 인사청문회 기준도 생긴 건데 자기가 당했듯이 김 후보자에게 하려고 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부 야당은 전날 김 전 부총리를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문위 국민의당 간사인 송기석 의원은 “청문회 증인과 관련한 간사 간 협의를 할 텐데 (김 전 부총리를 증인으로 부르는 문제를) 현재 의원실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전 부총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후보자 표절 의혹이 사실이라면 교육부 장관을 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 뒤, 증인 신청 요구가 오면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부총리는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지내 한 때 ‘원조 친노(친노무현)’로 통했으나 지난해 11월 최순실 사태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의해 총리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현재의 여권과는 다른 길을 선택했다.

한편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이르면 오는 26일쯤 하는 문제를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